이 수칙엔 은퇴 후의 생활을 대비하는 방법도 다뤄지고 있다.

한 외국계 은행의 조사에 의하면 '은퇴하면 떠오르는 것'에 대해 한국 국민들은 '외로움'을 많이 꼽은 반면 미국 영국 홍콩 등 전세계 21개국 성인남녀들은 '자유'를 들 정도로 은퇴에 대한 관념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한국의 사회 상황과 인식 차가 있지만 풍요를 누리는 방법은 비슷할 터. 한국 상황에 비교적 잘 맞는 내용을 추려봤다.

▶집 팔 때 값을 올려 받으려면 화장실, 부엌, 창문 순으로 고쳐라=투자 수익률 면에서 화장실은 102%, 부엌은 90%이다. 창문을 고치는 것도 가치를 높이는 좋은 방법. 투자 수익률은 90%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도 있다. 이웃보다 집을 더욱 크고 호화롭게 만드는 것은 투자 수익률면에선 100% 이하로 좋지 않다.

▶주택대출금은 연봉의 28%를 넘으면 안되고, 교육비와 차, 신용카드 할부금 등 대출금은 연봉의 36%이하여야 한다.

▶당신의 자산 중 몇 퍼센트를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당신 나이에서 120를 빼라=1926년 이래 미국내 주식 투자의 연평균 수익률은 10.5%. 국채(5.1%)의 2배가 넘는다. 단기 투자 등의 관점에서 현금의 연 수익률은 3.1%에 불과하다. 결국 장기 투자를 할 경우 주식이 가장 좋다. 또 주식 시장이 붕괴된다고 하더라도 젊은 투자자에겐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젊었을 때 주식 투자 비율을 높이고 점차 줄여나가는 것이 좋다.

▶투자 금액의 10% 이상을 한 곳에 투자하지 말아라.

▶금융 상품의 투자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이해하지 못한다면, 사지 말아라=주식 지수 펀드와 채권 펀드 두가지 만으로도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하다.

▶연 소득의 10%는 저축해야 한다=은퇴 후 대비를 위해 저축은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 만약 나이 50에 시작한다면 최소 연 소득의 30%는 저축해야 하며 은퇴 시기 역시 미뤄야 한다.

▶비상시를 대비해 최소 3개월의 생활비를 저축해야하며 자녀가 있거나 한명의 소득에 의존하는 가정은 최소 6개월 생활비가 있어야 한다.

▶자녀의 대학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비의 3분의 1을 모으는 것이 적당하다=나머지는 빌리거나 소득에서 충당하면 된다.

▶당신이 죽었을 경우 현재 소득의 5년치에 해당하는 생명보험 보상액이 필요하다. 만약 여러명의 자식이 있거나 상당한 빚이 있다면 10년치는 돼야 한다=그래야 당신 사후에 남아있는 가족들이 비슷한 생활 수준을 영위할 수 있다.

▶보험 계약을 할 때 당신이 최대로 가능한 자기부담액(deductible)을 선택하라. 그것이 보험금을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예를 들어 주택 보험의 경우 자기부담액을 500달러에서 1000달러로 올리면 보험료의 25%를 줄일 수 있다.

▶신용 점수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요금 청구서의 납입 날짜를 지키는 것이다. 또 신용 한도의 30% 이상을 빌리지 않는다.

▶차는 신형 중고차로 사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차의 가치는 출시 첫해가 지나면 30%나 떨어진다.

▶2~3년내에 차를 교체하려 할 때만 차를 리스하는 것이 좋다=그 이상을 타려면 리스보다는 차를 구매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와 같은 전자 제품은 출시되자 마자 사지 않는다. 출시 3개월만 지나면 값이 떨어진다.

▶비행기 티켓은 일찍 산다. 가장 싼 티켓이 가장 먼저 팔린다=이륙 전 공석이 있을 경우 때때로 싼 가격에 티켓을 살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기댈 순 없다.

▶100마일 당 1달러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없다면 쌓아둔 마일리지를 쓰지 말아라=미국의 경우 국내선 왕복 항공권을 무료로 받기 위해선 2만5000마일이 필요한데 만약 티켓 가격이 250달러 이하인 경우 차라리 항공권을 구매하는 것이 낫다. 국제선의 경우 100마일 당 2달러 이상의 가치가 적용된다. 즉 6만마일의 마일리지가 필요한 경우에 티켓 가격이 1200달러 이하라면 구매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