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http://blog.daum.net/p590125/7212321

 

젊은 화가부부의 시골농가 리모델링

얼마 전 전원주택 관련 인터넷 동호회에

농가를 리모델링한 주택의 거실 사진 한 장이 화제가 되었다.

그 솜씨가 예사롭지 않아 접속자 수가 하루 이틀 만에 수백명, 스크랩해 간 사람만 해도 여럿이다.
알고 보니 서양화가 이성용, 이경희 화가 부부가 3년여 동안 손수 일일이 개조한 집이다.

고풍스러운 멋을 한껏 뽐내는 서까래와 운치 있는 벽난로가 담긴 사진은

‘다른 공간들은?’이라는 참을 수 없는 궁금증을 만들어 낸다.

결국 자리를 박차고 집을 보기 위해 경기도 김포 '동막마을'로 향하는 차에 올랐다.

사람은 집이 있어 쉼을 얻지만 집은 사람이 있어 지탱한다.

아무리 잘 지은 집이라 할지라도 '사람의 온기'를 잃으면 쉽게 쓰러지고 만다는 말이다.

이는 반대로 아무리 쓰러져 가는 집이라도

사람이 들면 다시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로 되 해석 할 수 있다.

버려지고 허물어진 농가를 리모델링해 사는 사람들을 보면

단순한 건축학 논리를 벗어나 이런 집과 사람과의 오묘한 관계가 더욱 생생히 실감 된다.

 



강화도 문수산 아래  '동막마을' 42가구가 사는 소박한 농촌 동네에서

이성용, 이경희 씨의 집은 누가 가리키지 않아도 쉽게 눈에 띄었다.

마을 초입에 자리한데다 새하얀 칠을 한 박스형의 이국적인 건물이 한옥과 한대 붙어 있어

참으로 독특하다. 게다가 집앞 커다란 은행나무에서 잎이 한가득 떨어져

마치 노란 카펫을 미리 깔아 놓은 듯한 기묘한 생각마저 들게 한다.

담장 입구께로 다가가자 투닥투닥 부부의 입씨름 소리가 들린다.

“나는 삐뚤빼뚤 제멋대로인 모습이 좋아”
“아니 그래도 키를 어느 정도는 맞춰 줘야 가지런하고 예쁘죠.”
라며 마당 한 면을 대나무로 얼기설기 엮어 놓은 남편의 울타리를 보며

부부간의 품평회가 한창인 게다. 이들은 이렇게 보는 취향이 달라 그림 그리는 스타일도

판이 하게 상반되고 작업시도 따로따로 써야만 한다는 재미난 화가 부부다.

 



그런데 3년 지인을 만나기 위해 근방의 찾집을 가던 우연한 길에

버려진 이 집을 보게 된 때만큼은

‘어! 이거 뭔가 될만한 물건이다’라며 두 마음이 동시에 통했단다.

그 길로 집을 구입하고 리모델링에 나섰는데….

지어진지 70년도 더 되고, 버려진지 한참 되어 이미 쓰러질 대로 쓰러져

업자들 눈에는 단지 풀무더미로 밖에 보이지 않았던 모양이다.

다들 견적도 안나 온다는 소리와 함께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돌아섰다.

그 불쾌한 기억은 부부에게 오기와 열정을 불러일으켰고, 직접 리모델링을 하게 된 것이다.

서양화를 그리던 손에는 처음으로 톱과 망치를 쥐어 졌고

지금은 어느 곳 이들의 손길이 땋지 않은 곳이 없어 대형 공동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모습으로 변신했다. 

농가를 리모델링한 모습
집은 앞에서 보면

‘ㄱ’자의 한옥과 왼편에 박스형 현대식 건물이 붙어 있어 ‘ㄷ'자 모양을 하고 있다.

구입 당시에는 방, 대문, 헛간 등이 모두 사방을 에워싸고

'ㅁ'자 형태를 하고 있었는데 이를 개조한 것이다.
폐쇄된 듯한 공간들을 헐어내고 새로 지은 것은 좋지만, 한옥이면 한옥이고

현대식 스타일이면 현대식 스타일 것이지 이 모양은 무슨 괴기한 조화 일까?

 


고개를 갸우뚱 하게 하고 멍하니 집을 바라보는 기자에게 남편 이성용 씨는
“우리집 독특하죠? 저는 답답한 것이 싫어요.

그리고 규격화 된 것도 싫어요.

있는 그대로의 세상과 그 자연의 아름다움을 찾고 싶어서 전원생활을 갈망해왔죠.
그래서 굳이 이 집을 고집한거예요.

 

옛집에서는 내가 가 볼 수 없는 아주 오래 전, 변형되고 조작 되지 않은

순수함이 있던 시절의 향기를 찾고 느낄 수가 있어요,
이 곳으로 이사하려고 보니 작업실과 아들방, 어머니 방이 들어설 자리가 부족했어요.

그래서 증축을 하게 되었죠.
하지만 전 한옥을 리모델링해 산다고 해서 구색을 맞추고 통일감을 주기 위해

같은 한옥 방식으로 지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봐요.

 


요즘사람, 요즘 나무로 괜히 겉모양만 그럴싸하게 흉내를 내다가는

도리어 있던 집마저 훼손하게 될 수 있죠.
새로 필요한 부분은 지금 시대에서 통용되는 방법으로 적절히 지으면 되는 거죠.

그래서 경제적인 조립식 주택을 지어 이어 붙였어요.
멋지게 말하자면  ‘현대와 전통의 조화’, ‘파괴의 의미’라고 말할 수 있고요.

쉽게 말하자면 그저 내 맘대로 짓기였죠 뭐.(하하)”

설명을 듣고 보니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소리다.

오래된 궁궐이나 사찰을 복원하는 장인들은

나무하나를 들어내고 교체할 때 결코 쉽게 하는 법이 없다.

비슷한 모양의 나무를 찾고 그 것에 세월의 때를 최대한 담아내기 위해

갖가지 방법을 찾느라 수년의 세월도 아끼지 않는다.

그리는 못할망정 본래의 아름다움마저 덕지덕지 다른 것으로 덧붙여 가리고

오염시킬 필요는 없는 것이다.

부부는 한옥을 남겨둔 부분은 최대한 본래 것들 되살리기 위해 애썼다.

내부는 천장을 걷어내고 서까래를 들어낸 뒤 오일스테인을 여러 차례 발라

색을 되찾아 주고, 벽면은 일일이 핸디코트로 마감했다.

공간을 넓히기 위해 처마 부분까지 벽면을 밀어 내야 했는데,

내부로 드러난 기둥과 보에 부엌문이나 방문의 문살 등 폐자재를 붙여

마치 붙박이장처럼 짜 맞춤 수납공간으로 변신시켰다.

어찌 이런 생각을 했을까 참으로 기발하고 독특하다.

별채가 있던 부분은 황토방 겸 다실로 꾸며 놓았다.

아내 이경희 씨가 잠시만 앉아 있어보라며 손짓을 하더니

마당에 나가 아궁이에 나무를 한아름 넣어 불을 지피고

들어와서는 며칠 전에 따 말려 두었다며 감국차를 우려내어 왔다.

 

 

퍽퍽한 흙벽과 바닥 속으로 열기가 서서히 스며들더니 금새 엉덩이를 뜨끈하게 달궈 놓는다.

그리고 차 한 모금을 입에 담고 나니 온통 꽃향기가 코끝에서 뱅뱅 맴돈다.

순간 시골 외할머니 댁에 놀러갔던 어린시절이 떠올랐다.

마당에서 실컷 눈장난을 하다 방으로 뛰어 들어온 내게 ‘이리 앉아~이리’하며 아랫목의

무거운 이불을 들춰내며 손짓하시던 할머니의 얼굴

가슴 속 한구석에 고이 담겨 있던 목소리….
어른이 되고 취재를 왔다는 것도 잠시 잊은 채 마음이 한없이 풀리고 편안함이 밀려든다.

조금 전 남편 이성용 씨가 말한 다시 돌아 갈수 없는 시절의 향기를 찾는 법

옛집을 되살려 살아가는 재미란 바로 이런 것인가 보다.


전원 생활을 위한 10년간의 산전수전

이들 부부가 전원생활을 하게 된 것은 우연히 발견한 폐가를 보고 급히 결단 한 것은 아니었다.
그림 작업을 하다 만나 결혼까지 하게 된 부부는 둘 다 워낙 자연을 좋아해

아이를 낳고도 기저귀 가방, 텐트 들춰 메고 틈만 나면 여행을 떠나기 일수였다.

진작부터 전원생활을 하고 싶었지만 순수미술을 하는 이들에게

생계에 대한 짐은 결코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들 부부는 10년 동안  열심히 일하고 그 후에 시골로 내려 가 살자고 계획을 세웠다.


     


그 이후 사업도 벌리고,

일거리도 찾아 나서며 8년을 꼬박 쉬는 날 없이 생활을 했다.

그러나 일은 생각처럼 풀리지 않았고, 모든 일을 접고 도심을 벗어나

김포시 한적한 아파트로 이사를 해야 했다.
돈이란 것이 참으로 이상해서 쫓으면 더욱 도망가고, 알아서 붙어야 한다는 속설이 있다.

이들도 김포에서 이동도서방문과 미술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욕심을 버리자 삶에 또 다른 길이 열리기 시작했다.

이동도서방문 사업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남편은 개인화실을 운영하며

작품활동에 매진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뭣보다 우연한 길에 이 집을 발견하게 되면서

소망하던 전원생활을 자연스레 시작하게 된 것이다.

집짓기와 함께 이경희 씨는 요즘 동화그림 세계에 관심을 갖게 되어

3년간 다수의 글과 그림을 그리며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

 

       

남편도 몇일 전 인사동에서 그간의 작품을 모아 개인전을 열었다.

역시 사람은 물 흐르는 대로 욕심을 버리고 순리를 따르다 보면 복이 붙기 마련인가 보다.  

자연과 마을 사람들에게 예술로 보답하는 삶
집짓기 말고 그토록 소망하던 전원생활은 과연 어떻게 꾸려가고 있는 것일까

몇가지 질문을 던져 보았다.
이성용 씨는 어깨를 으쓱 들어 올리며
“도시에서 농촌으로 내려오는 것, 요즘시대에 진보적이고 개운한 생각 아닙니까?"
라고 말하며 웃음을 지어 보인다.


5학년인 아들은 전교생이 250명인 월곶초등학교에 입학하자

여기서는 교장선생님이 아이들 이름을 다 기억해주신다며

도시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활기찬 얼굴로 학교를 다닌다.

그리고 이제는 바리바리 짐 사들고 여행을 떠나지 않으며,

여름이면 집앞 강가로 낚시를 가고, 가을이 찾아오면 고개를 돌려 뒷산을 올려다보며

단풍놀이를 한다며 자랑이 끊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부부의 전원생활 계획은 여느 사람들과는 조금 다르다.

소중하게 자연을 얻게  된 만큼 자연에게, 마을 사람들에게 보답하며 살 예정이다.

 

           


그 첫 번째 시도로 김포미술협회에서 계획 중이던 ‘미술관 만들기’프로젝트 사업을

적극 도와 첫 1회를 동막마을에 치룰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0월 6일~12일 동안 진행된 행사 기간 동안 마을 회관에는

김포지역 작가들의 많은 작품들이 전시되었고, 마을 사람들과 어우러져

설치미술 작품을 만드는 등 농촌사람들도 예술을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진행 되었다.

이경혜 씨는 이런 커다란 행사 뿐 아니라

살면서 차차 마을 곳곳을 예쁘게 꾸며 보고 싶단다.

다음번에는 버스정류장에 놓을 조형물을 하나 만들어 볼까 생각 중이라는데,

언젠가 문수산 휴양림을 오르는 길목에서

예상치 못한 미술작품을 만나는 기쁨을 누릴 날이 꼭 오기를 기대해 본다.

 

 

profile
조회 수 :
9183
등록일 :
2011.10.11
12:17:41 (*.156.160.10)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176458/be4/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17645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47556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48284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166132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54747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35660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35344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280662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11682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49839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64407
» 잠깐 눈요기 - 시골집 리모델링 ( 젊은 화가 부부) [114] 베릭 2011-10-11 9183
17055 Hybrid ( 교배종, 혼혈종 ) [8] 베릭 2014-08-20 9149
17054 로버트 먼로의 유체이탈 기법을 통한 미지 세계로의 여행[펌] [3] [93] 베릭 2010-12-31 9128
17053 삼계내의 외계인의 지구인 인체점령 계획: 이홍지 선생님의 설법 중 [4] [36] 한울빛 2002-05-20 9098
17052 루시엘 천사장 (4대 천사) [9] [10] 12차원 2011-05-07 9071
17051 2012년 지구 종말설 니비루 행성x NASA답변 요약 [3] [70] 베릭 2011-04-20 9070
17050 밥 제이콥스 박사의 증언 - 미사일탄두들 요격한 UFO (핵무기의 위험성 시대) [2] [74] 베릭 2012-06-12 9060
17049 명상음악 - 가이아의 마음 ~ 외 [2] [96] 베릭 2012-06-10 9057
17048 안드로메다와 우리 은하의 이야기.... [1] 조가람 2010-10-07 9054
17047 세이노의 가르침 (Say No) --1 [10] 베릭 2011-11-11 9007
17046 시간을 되돌려 마음을 순정히 하다. 한신 2014-12-30 8972
17045 천사 가이드 ~ 정신 장애에 대한 천사의 견해: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증, 자폐증 세바뇨스 2013-09-30 8969
17044 체널들께 감사 !!! [27] 손세욱 2002-03-03 8934
17043 간이 도서관 운영 !!! ^^ [6] [3] 손세욱 2002-03-10 8907
17042 지구와 가장 유사한 행성; 플레이아데스 타예가의 에어라 [6] 칠성이 2018-11-15 8882
17041 책 방출 [3] agartha 2010-09-02 8876
17040 피라미드나 히란야로 에너지를 받아 명상하는게 좋은건가요? [1] [37] 남궁권 2010-10-08 8874
17039 지구 의 잊혀진 역사 중에서 !!! (고래 이야기) [6] 손세욱 2002-03-10 8869
17038 Crop Circle !!! [59] 손세욱 2002-03-04 8868
17037 [태양(The Sun)] 태양이 나왔다 아트만 2023-12-03 8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