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트라다무스의 <제세기>를 철저히 파헤치다 (22)

누가 최후의 심판자인가?
작자: 역천균

【정견망 2008년 1월 22일】

제3장: 우주의 주신이 인간세상에



제4절: 누가 최후의 심판자인가?



성경 요한 계시록

“또 내가 크고 흰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자를 보니 땅과 하늘이 그 앞에서 피하여 간데없더라 ”<20장 11절>

“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무론 대소하고 그 보좌 앞에 섰는데 책들이 펴 있고 또 다른 책이 펴졌으니 곧 생명책이라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에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 <20장 12절>

“바다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고 또 사망과 음부(淫婦)도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주매 각 사람이 자기의 행위대로 심판을 받고” <20장 13절>


최후의 심판은 줄곧 각종 미래 예언의 중심으로 모두 최후에 신이 내려와 세상을 구하고 최후의 심판을 한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신이거나, 상제거나, 이 최후의 심판을 주재하는 신이 어떤 면모로 인간에 출현할 것인지 신은 이미 500년 전에 <제세기>를 통해 이미 답을 주었다.


자비로운 대법과 최후의 심판


제7기 제17수

불문:
Le Prince rare en pitié & clemence,
Apres auoir la paix aux siens baillé,
Viendra changer par mort grand cognoissance,
Par grand repos le regne trauaillé

영문:
The prince who has rare pity and clemency,
After peace his great water barrels,
Will come to change by great jurisdiction of dead
By great recreating, reign exquisitely.

그 왕자는 보기 드문 자비를 가졌다
평화 이후 그의 위대한 대법은
죽은 자를 최후에 심판하여 세계를 변화시키며
위대한 휴양과 재창조를 통하여 정교하게 통치한다.


이 시의 원래 영문번역은 원문에 충실하지 않고 지나친 의역으로 원뜻을 잃어버렸다.


<제세기>는 불문을 위주로 해서 다른 문자를 결합해 완성한 것인데, 라틴어, 스페인어, 영어 등이다. 원문의 제 1구에서 rare는 영어로 희소하고 걸출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원래 영문 번역에서는 “rare”를 “적다”고 하여 뜻이 완전히 반대로 되었다. 그래서 <제세기> 예언 시의 중요한 요소는 가능하게 원문에 충실한 것이며 가능하면 직역으로 예언을 번역했다.


본 시 원문의 가장 관건적인 것은 제 3구의 ‘cognoissance’ 또는 ‘connaissance’라는 말과 같은데 그것의 일반적인 의미는 ‘인지(認知)-알다, 알아채다’는 뜻이다 그래서 제 3구를 영어로 번역하면 “will come through death to change (and become) very knowledgeable.”가 되며 그 뜻은 “그는 장래 사망을 통해 변한 것을 알아낼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번역하는 것은 분명 불합리하다. 사실 불문의 명사 ‘connaissance’는 법률전문 용어에서는 ‘심판관할권’를 표시한다. 그래서 “죽은 자를 통한 위대한 심판” 이라는 뜻이며 이 “위대한 심판”은 <계시록>에서 말하는 “바다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매 각 사람이 자기의 행위대로 심판을 받고” <계시록 20장 13절>의 ‘최후의 심판’과 일치한다.


본 시의 앞 두 구절 “그 왕자는 보기 드문 자비를 가졌다. 평화 이후 그의 위대한 대법은”은 바로 자비로운 파룬따파 사부인 이홍지 선생님을 가리킨 것이다. 우리는 윗글 제 4절에서 이미 말했다. 제세기의 예언 중 ‘물동이’를 복수로 쓴 것은 ‘법(法)’을 가리키는 것이며 여기서는 물통(water barrels)로 써서 물동이를 대신하여 대법을 가리켰다. 파룬따파 수련자는 모두 매우 평화로우며 파룬궁의 모든 공법 역시 매우 평화롭다. 비록 ‘동공(動功)’이 있지만 역시 “느리고, 완만하며 둥글다.” 그래서 본시의 제2구는 평화로운 파룬따파를 통해 대법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본시의 제 3구 “죽은 자를 통해 최후의 심판을 하며 세계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대법 사부가 최후의 심판을 주재한다는 것이며 아울러 ‘진선인’ 우주 대법을 널리 전함으로써 중생들에게 ‘선유선보 악유악보(善有善報 惡有惡報)’의 천리를 알게 하고 중생의 선념을 계발해 이로부터 중생을 선으로 향하게 하며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시의 제 4구의 “위대한 휴양과 재창조를 통하여 정교하게 통치한다.” 는 것은 파룬따파 불법(佛法)체계의 정교한 우주개조와 그 중의 중생을 말하는 것이다. 거의 사망의 경지에 처한 우주가 생명을 다시 얻게 되고 중생들이 구도받게 한다. 영문의 “recreation”은 휴양, 오락의 뜻이 있으며 또 recreation 재창조라는 뜻이 있다. 그래서 그것을 “휴양과 재창조”로 번역했다.



정사(正邪)의 대전(大戰)



'木子'가 최후의 심판자


제10기 제73수

불문:
Le temps present auecques le passé
Sera iugé par grand Iouialiste,
Le monde tard luy sera lassé,
Et desloyal par le clergé iuriste.

영문:
The present time together with the past
Will be judged by the great Jovialist:
The world too late will be tired of him,
And through the clergy oath-taker disloyal.

현재와 과거는
위대한 ‘木子’에 의해 판단될 것이다.
세계는 너무 오래 끌어 좀 지루할 것이다.
성직자들이 신성한 서약을 위배하기 때문에


본시의 영어 번역은 하나도 바꾸지 않고 단지 “Jovialist”만 환원시켰다. 그러나 이 “Jovialist”를 어떻게 이해하는가가 이 시를 해독하는데 관건이다.


‘Jovialist’의 내원은 ‘Jovial’인데 여기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쾌활한, 즐거운’이라는 뜻이 있다. 그래서 원래의 영어번역에서는 ‘Joker’로 번역했다. 뜻은 웃기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 농담하는 것은 너무 심해서 뜻이 좀 동 떨어진다. 그렇다면 ‘Jovial’은 또 다른 뜻인 ‘Jovian’에 해당한다. 이는 로마신화의 주신 주피터 또는 ‘목성’을 가리킨다. ‘Jovial’의 어근이 <제세기> 이 예언시에서 말한 정확한 뜻이다. 우리는 “ist”를 붙여 모종의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을 표시할 때 쓴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Jovialist” 는 주신 주피터를 연구하는 학자 또는 ‘목성을 연구하는 학자’가 된다.


만약 이 시가 예언하려는 것이 “현재와 과거 위대한 우주의 주신 주피터가 심판한다”는 것이라면 그 시에서“ 직접 주신 주피터”라고 하면 되지 무엇 때문에 “주신 주피터를 연구하는 학자”라고 했는가? 왜냐하면 이 우주의 최후의 심판자가 우주를 다시 살리는 신이며 우주의 미래를 더욱 좋게 하는 결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 구우주의 주신과 같지 않다. 그렇다면 <제세기>에서 이 한 수의 시가 포함한 신의 계시는 바로 ‘Jovialist’라는 이 명사로 우주 최후의 심판자의 세 가지 특징을 나타냈다.


제1:주신 주피터를 연구하는 학자 ‘Jovialist’는 바로 “우주의 주신을 연구하는 학자”이며 또 우주의 주신을 연구하며 것은 바로 우주의 대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선인’은 바로 우주의 근본대법인데 이 ‘우주근본대법’을 전한 사람, 바로 파룬궁을 창시한 이홍지 선생님이다.


제2 : ‘Jovialist’는 또 “목성을 연구하는 학자”를 가리킨다. 중국 고대 모종 학문의 최고층차를 하는 학자를 존칭하여 ‘子’라고 불렀다. 그래서 중국에 ‘제자백가’가 있는데 ‘유가(儒家)’의 대표는 ‘공자’이며 ‘묵가(墨家)’를 대표하는 이는 ‘묵자’라 한다. 이것으로 유추하면 ‘목성을 연구하는 학자’는 ‘목자(木子)’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Jovialist’를 ‘木子’로 번역했다.


제 3: ‘Jovialist’는 ‘목성을 연구하는 학자’ 또는 ‘목성(木星)에 속하는 사람’으로 이 최후의 심판자는 ‘木’에 속하는 사람이다. 다시 말해 오행 중 목(木)에 해당하는 년도에 출생한다. 파룬궁 창시인 이홍지 선생님은 1951년 출생했는데 이 해는 ‘신묘(辛卯)’년으로 바로 ‘목’에 속한다.


우리는 본장 제 2절 제 4기 99수를 해독할 때 이미 알았는데 예언 중에서 “공주(公主)의 큰 아들”은 바로 중국 길림성의 ‘공주령(公主嶺)’에서 맏이로 출생한 파룬궁 창시인 이홍지 선생이다. 로마 신화 중 우주의 주신 주피터는 번개를 주관하는 신인데 예언에서 “공주의 큰 아들”, “그는 무수한 번개를 내 보낸다”는 바로 이홍지 선생이 미래의 “우주의 주신 주피터”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면 우리는 <제세기> 이 한 수의 시에 포함한 신의 계시는 이미 뚜렷해졌는데 위대한 파룬궁의 창시인이 와서 심판한다고 단정할 수 있으며 그가 이 우주 최후의 심판자이다.


본 시의 뒤 2 구절
“세계는 너무 오래 끌어 좀 지루할 것이다. 성직자들이 신성한 서약을 위배하기 때문에”
는 우주 최후의 심판자가 말법시기 일부 성직자들이 부정당한 행위에 대해 실망한 것을 표시한다. 이홍지 선생님이 1996년 <정진요지-변이>에서 언급한 것과 같다.

“성직자(神織人員)들의 부정당(不正當)한 행위가 정결(貞潔)한 서약을 완전히 위반함으로 말미암아 神의 부탁이 한 푼의 가치도 없게 변하여 인류와 神을 모두 깜짝 놀라게 한다! 선량한 사람들은 줄곧 그들을 자신이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의뢰자로 간주해 왔으나, 실망은 사람들이 더욱 더 종교를 믿지 않게 했으며 최후에는 神에 대한 신심(信心)을 완전히 상실하게 했다. 그리하여 아무 거리낌 없이 일체 나쁜 짓을 할대로 한다.”

사실 이런 말은 서양 종교의 성직자만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동양의 불교, 도교의 성직자, 심지어 천상에서 신성한 서약을 하고 인간에 내려와 대법에 동화하려고 한 사람들이 사람의 바다에 빠진 과거의 신, 부처를 포함한다.


전편에서 유백온이 말한 것과 같다.
“천상의 불도신 더욱 높은 고층생명이 모두 내려오고 이에 미래불이 세상에 내려와 도를 전하며 천상천하의 여러 불조들이 누구든 할 것 없이 이 금보다 더 진귀한 유일한 길을 못 만나면 이 겁을 피하기 힘들고 과위를 깎이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천상천하의 모든 부처” 역시 일부분 자기의 당시의 서약을 잊어버리고 천만년 기다린 대법을 만나도 스쳐지나가며 ‘황금의 길’을 만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부분의 “성직자”와 하세한 여러 신들은 자기 당시의 서약을 잊어버리고 속인사회에서 길을 잃어 “세계를 너무 오래 끌었다.” 곧, 우주 정법의 노정에 영향을 주어 우주 최후의 심판자가 그들 때문에 “지루하게” 느끼게 한 것이다.


2007년 션윈(神韻) 공연을 본 사람들은 아마 일 막의 ‘신성한 서약’을 기억할 것이다. 거기서 말한 것은 그때 뭇 신들이 세상에 내려오기 전 서약한, ‘파룬따파’가 널리 전해질 때 대법에 동화되고 사부님을 도와 정법한다는 신성한 서약이다.


발표시간 : 2008년 1월 22일
정견문장 : http://zhengjian.org/zj/articles/2008/1/22/50530.html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