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caremind.com 행성격자시스템의 이해(1)
**이글은 전라지역PAG모임 자료입니다.

행성격자(그리드)시스템의 이해=새로운 현실(Reality)의 이해

1. 지표면의 전자기적 에너지로 충전된 라인들(지맥)
   Curry line , Hartmann line, Black line, Ley line

2. Sacred Geometry(신성기하학) : 창조의 청사진
가. Platonic solid(플라톤의 입체도형)
  정사면체 : 불,열상태    정육면체 : 땅,고체상태    정팔면체 : 바람,기체상태
  정12면체 : 우주,에테르상태    정20면체 : 물,액체상태
=============================================================================
다면체         |   정사면체   | 정육면체  |  정팔면체  |   정십이면체  |   정이십면체
------------------------------------------------------------------------------
꼭지점의 수  |         4        |      8       |     6         |     20            |      12
모서리의 수  |         6        |      12      |     12        |     30           |       30
면의 수        |         4        |       6      |      8         |     12           |     20
면의 모양     |   정삼각형   |  정사각형 | 정삼각형   |  정오각형      |  정삼각형
=========================================================================-===

  *정사면체 2개를 교차시키면 star tetrahedron: 12모서리  24면

  *중심점(1)과 12수 사이에는 등거리 : 13수(12+1)

   *평면도형인 다각형 중에는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은 정다각형이 있고, 입체도형인 다면체 중에는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며 각 꼭지점에 모인 면의 수가 모두 같은 정다면체가 있다. 그런데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과 같이 무한히 많지만, 정다면체는 다섯개(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만 존재한다.

  *플라톤은 정다면체에 매우 특이한 의미를 부여했다. 플라톤은 이 세상이 네 가지 원소, 즉 물, 불, 흙, 공기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다. 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책 ‘티마이오스’(Timaeus, 기원전 350년경)에서 이 네 가지 원소는 모두 작은 입체들의 집합체라는 이론을 제기했다. 게다가 세계는 완벽한 입체만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원소들도 반드시 정다면체 꼴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장 가볍고 날카로운 원소인 불은 정사면체, 가장 안정된 원소인 흙은 정육면체, 가장 활동적이고 유동적인 원소인 물은 가장 쉽게 구를 수 있는 정이십면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정팔면체는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가볍게 잡고 입으로 바람을 불어 쉽게 돌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이므로 공기의 불안정성을 나타낸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정십이면체는 우주 전체의 형태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예로부터 12라는 숫자는 우주와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다. 천문학에서 말하는 황도 십이궁과 우리의 십이지가 그 예다.플라톤의 이런 주장 때문에 정다면체는 ‘플라톤의 입체도형’이라는 별명을 갖게 됐다.

   * 별정사면체,다윗의 별,머카바의 해석적 의미: 패러다임의 변화

나. 피보나치 수열(1 2 3 5 8 13 21 34 )과 등각나선운동

다. 황금분활(파이율)로 된 기하학적 패턴의 의미: 자기조직적인 우주 패턴

3. Shumann Resonance : 기본주파수 7.5Hz + 그리드정렬로 인한 고주파에너지
    = 9~11증가하여 13Hz까지 증가 예상
가. 슈만공명이란
소리굽쇠가 소리에 대한 기본 주파수를 가지고 있듯이 지구도 슈만 공명이라는 기본주파수 (전자기복사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 두뇌도 전자기적 기본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슈만 공명은 인간두뇌의 알파파와 세타파와 동조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슈만공명의 기본주파수는 지구표면인 안쪽 경계와 이온층(전리층)이라는 바깥쪽 경계의 구형 공동 사이의 주파수이다.
나. 기본주파수
기본주파수를 이론적으로 계산해 보면
빛의 속도는 300,000km이고 지구 원주는 40,000km이므로
지표에서의 기본주파수 =300,000/40,000=7.5cycle/sec=7.5Hz 가 된다.  
슈만 공명은 실제 실험에 의해 초당 6- 50Hz사이에서 7.8, 14, 20, 26,33, 39,45Hz (+/- 0.5 Hz)로 측정된다. 기본주파수는 지난 2000년동안 약화되고 있는지구 자기장의 세기와 구성형태, 대기의 구성과 특성, 이온층의 위치와 특성, 태양 흑점주기, 태양의 전자기 폭풍, 지구의 전자기 특성, HAARP 프로젝트 등의 요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 운영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1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