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caremind.com
연민이란 무엇인가?
by Jelaila Starr
Written October 10, 2001

이것은 우리 모두가 깊이 빠져 있었던 낡은 사회적 패러다임에 정면으로 대항하는 것이므로
내가 써야 할 가장 도전적인 기사 중 하나임에 틀림없습니다. 그 패러다임은 어떻게 우리가 연민을 이해가고 사용할 것인지와 관련된 것입니다. 명확성을 위해서, 사회로부터 배워온 연민(3차원 연민)과 연민의 고차원 판(5차원 연민) 사이의 차이성을 두고자 합니다.

웹스터 사전은 연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고통을 벗어나게 하려는 바램으로 다른 사람의 고통에 대한 깊은 인식. 불쌍히여김(동정). 이것은 우리가 배워왔던 연민의 종류를 매우 잘 설명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당신들이 알 수 있듯이 연민은 하나의 감정-동작하는 하나의 느낌입니다. 그것은 살아있는 느낌입니다. 하나의 느낌이 활동하면 그것은 도구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습니다. 도구로서 그것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금 연민을 정의할 때 웹스터 사전은 불쌍히 여김(동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을 주시하십시요. 웹스터 사전은 동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누군가를 돕거나 인정를 보여주기위해 누군가에게 마음을 기울리는 슬픔의 감정. 인정(mercy)은 자주 고통으로부터 누군가를 구해내기 위한 동기로서 사용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인정이 좋다고 배워왔습니다. 그러나 고차원적 관점에서는 동정과 인정은 어떤 사람을 창조자 신/여신으로가 아닌 희생자로서의 정의하는 단어들처럼 보입니다.

나는 동정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는 어떤 사람의 고통을 의욕적인 형태의 판단이라고 이해해 왔습니다. 우리가 동정받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 없습니다. 흠....우리가 보통 놀라운 어떤 것을 느끼는 누군가를 구제하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죠?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나쁘다라고 느끼는 고통의 느낌 속에 있는 사람을 구제하기를 원합니다.
  
슬픔과 고통은 괴롭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다른 사람의 경험에 대해 동정할 때면 우리는 그들의 경험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죠?  마음속에서는 웹스터 사전에 정의된 것처럼 3차원 연민은 판단의 도구임을 의미합니까?

우리가 배워온 이런 형태의 연민은 모든 분야의 게임이며, 우리가 힘을 약화시키도록 계획하고 영혼으로서의 우리가 힘이 약화된 상태로 빠지고, 우리가 힘이 약화된 상태임을 깨닫고, 그리고는 다시 우리의 힘을 회복시키는 단계를 밟아가는 것임을 아세요. 다시 말해 영혼의 진화의 게임의 일부이며, 그러므로 그것은 옳지도 그르지도 않습니다.  

고차원적인 5차원 연민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누군가를 구제할 필요가 없이 누군가의 고통에 대한 깊은 인식, 그것의 가치에 대한 완전한 감상(감사)의 느낌, 비판단의 상태.

아시다시피, 5차원 연민의 정의는 우리에게 아주 낯설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포용하기 위해
마음을 뻗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다소 어렵습니다. 누군가의 고통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우리 세계에서는 평범한 생각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신이 그러하다“라고 배워온 생각의 종류입니다. ”신은 자비롭다. 신은 무한히 사랑한다”.

우리는 이런 말들을 들었지만 어떻게 그런 의식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을지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우리가 무조건적인 사랑과 연민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을까. 그 단계는 무엇인가. 아주 짧게 말하면 우리는 연민의 관점을 바꾸고 우리가 배워왔던 것을 넘어서 이 말을 사용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우리는 동정을 뒤로 떠나보내고 비판단의 영역으로 옮겨가야 합니다.

5차원 연민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한 모든 판단을 중지해야 합니다. 우리는 그 행동과, 그들이 얼마나 고통 속에 있는지에 대하여 의식해야 하며 그리고 동시에 그들은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치는 영혼으로서 영적 성장을 돕기 위한 역할에 관련된 것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 운영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15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