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과 별의 생명수에 대한 제 생각을 적습니다.

태양계를 기준으로 삼아서 적고, 영원하게 존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적습니다.



참고로 차원공간과 존재의 수는 1차원공간으로 가면 각 별마다 360존재가 태어나지만 그 공

간은 왜곡이 심해서 별의 수가 무한대 입니다. 별이라 할 수 도 없이 그 크기 또한 바늘구멍보

다 작습니다. 무한히 작습니다. 그러므로  1차원공간안에서  존재하는 모든 별들안의 전체의 생명수는 360*무한대 이므로 결국 무한대의  존재가 사는겁니다.



그러므로 공간의 왜곡이 질서와 균형을 잡힌 태양계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5차원공간에서 12000태양과 각 태양마다 그 주위를 도는 12행성들은 불변하므로 태양을 포함한 144000별을 기준으로 할때 5차원 공간의 전체 생명의 존재수는 모두 51,840,000입니다.



0(조화)

13

__

12

11

--



10  (10차원부터 공간,시간과 무한  , 상대성과 절대성이 공존)



--                      행성포함한 생명수      행성으로 부터 나온 최초 생명(외계존재,이동 제외)

                                                                     (각 행성마다의 존재수임)



9차원공간 (2+1)제곱    9                                       8

8차원공간 (4+1)제곱    25                                     24

7차원공간 (6+1)제곱    49                                     48

6차원공간 (8+1)제곱    81                                     80

5차원공간 (10+1)제곱  121                                   120

4차원공간 (12+1)제곱  169                                   168

3차원공간 (14+1)제곱  255                                   224

2차원공간 (16+1)제곱  289                                   288

1차원공간 (18+1)제곱  361                                   360



각 수에서 1씩을 뺀것은 나는 생명이다라는 개념이 계속 중복되는 형태의 생명이기때문이다.

그 하나의 수는 10차원 태양으로 돌아갑니다.



위 표는 각 의식을 생명이라 했을때 9차원부터 시작되는 상대성(대칭)의 개념에 따라 짝으로써 존재가 생성되기에 그에 따라서 생각한것을 적은겁니다.



1차원공간까지 빛이 도달했을때는그안에 새롭게 태어나는 행성이나 항성들은 1차원의 태양보다 모두 낮은 차원의별입니다. 결국 모두 사라지는 별들이죠. 그렇다면 그 안에 360존재가 태어나도 모두 같은 길을 걷게 됩니다.



결국 남는 것은 별들은 모두 사라지고  2차원공간안에서의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들이  진동을 낮추어 1차원공간안으로 이동하면서 태양으로 변하면서 그 행성들의 수만큼만의 태양만 남겠죠.



그러므로 별들을 제외한 1차원공간의 태양안에 남는 존재의 수가 360존재라는 겁니다.

마지막 진동의 생명의 불꽃들이죠.



그러므로 태양이 10차원으로부터 생명이 시작되어 1차원 공간을 따르지 않고 시간으로 따라

흘렀을때에는 1차원 태양에서 360존재가 그 행성안에 존재를 드러낸다는 것입니다.





만약 그 1차원 공간의 태양이 5차원공간까지 태양의 홀을 따라 차원 상승하게 된다면 그 태양은 360의 존재수가 유지되게 됩니다. 2차원공간으로 진동을 높혔을때 행성안에서 태어나는 존재수가 288존재가 아니라 이미 360존재를 가지고 공전한다는 말입니다.



태양의 길을 따라가는 상승은 모든 존재가 행성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 운영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15 09:42)
* 운영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15 09:52)
* 운영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15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