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http://www.herenow.co.kr/ <퍼온글>암흑 물질(dark matter)과 암흑 에너지(dark energy)

다음 내용은 “암흑 물질(dark matter)과 암흑 에너지(dark energy)가 우주를 지배해 왔다”에 관한 이야기인데, 여기서 “암흑 에너지”는 “영점에너지(zero-point energy)”와 동일한 것으로 접급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영점에너지”를 사이비 과학으로 몰고 왔으나 이제는 영점에너지를 사이비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바로 사이비가 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 글의 출처는 http://www.newtonkorea.co.kr/newton/new/newton2002_12.htm 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암흑 에너지"를 일반 실험실에서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http://xxx.arxiv.org/abs/astro-ph/0406504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길전 교수님의 멘트)


1998년, 우주의 팽창 속도가 미지의 ‘암흑 에너지(dark energy)’에 의하여 가속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보고되었다. 우주에는 우리들이 알지 못한 헤아릴 수 없는 양의 에너지가 잠자고 있는 셈이다. 또 우리들은 오랫동안 별이나 은하가 우주의 주역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우주에는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지의 물질이 눈에 보이는 별이나 은하의 몇 십 배나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그것은 ‘암흑 물질(dark matter)’이라 한다. 이와 같이 서로 전혀 다른 물질이면서 우주를 함께 지배하는 이 두 가지 ‘암흑’은 무려 우주 성분의 약 95%에나 이를 것이라고 한다. 최신 우주론은 우리들의 우주관을 송두리째 뒤집어 놓을 것이다.

1970년경 미국의 베라 루빈 박사팀에 의하여 그때까지의 우주관을 완전히 뒤집는 듯한 충격적인 발견이 이루어졌다.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계와 같은 소용돌이 은하는 전체가 회전하고 있다. 은하의 중심에는 별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당시 은하는 바깥쪽이 중력이 약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은하의 바깥쪽 천체는 안쪽보다 저속으로 회전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그러나 예측과는 달리, 은하의 바깥쪽도 안쪽과 거의 마찬가지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루빈 박사는 발견하였다. 눈에 보이는 별의 중력만으로는 고속으로 운동하는 바깥쪽의 천체를 묶어 놓을 수 없다. 루빈 박사의 발견은 은하에는 보이지 않는 미지의 물질이 대량으로 존재하여, 고속 운동하는 천체를 그 중력으로 묶어 두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 미지의 물질은 ‘암흑 물질’이라고 명명되었다.

나아가 현재는 은하가 모여 있는 은하단에도 대량의 암흑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또 암흑 물질은 우주 초기에 그 중력으로 주위에서 물질을 끌어당김으로써 은하 혹은  은하단의 형성에 불가결한 것이었음도 알려져 있다.

그러면 암흑 물질의 정체는 무엇일까? 중성자별이나 블랙 홀, 갈색 왜성 등의 ‘어두운 천체’일까? 그러나 이들 천체는 존재의 양이 대충 알려져 있어, 모두 합치더라도 팽대한 암흑 물질을 설명할 수 없을 것 같다.

최신 우주론에서는 ‘암흑 물질’은 우주에 안개처럼 분포하는 소립자가 아닐까?’ 하고 생각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립자는 지구나 우리들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양성자나 중성자, 전자 등을 말하는 ‘보통의 입자’가 아니다. 지구조차도 관통해 버릴 듯한 ‘유령 입자’(WIMP)가 암흑 물질의 유력 후보인 것이다.

유령 입자에는 뉴트리노, 액시온, 초대칭성 입자 등이 있다. 그러나 뉴트리노는 최근의 관측에 의하면 암흑 물질이 되기에는 질량이 너무 작은 듯하여 유력 후보에서 밀려나고 있다. 한편 액시온과 초대칭성 입자는 이론으로 예측되어 있을 뿐 존재마저도 아직 실증되어 있지 않다.

1998년 경악스러운 관측 결과가 보고되었다.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우주는 고온, 고밀도 상태에서 ‘빅 뱅’이라는 대폭발로 탄생하여 계속 팽창하고 있다. 암흑 물질을 포함한 물질은 그 중력으로 우주의 팽창 속도에 브레이크를 거는 작용을 한다. 만약 암흑 물질이 대량으로 존재하면, 우주의 팽창은 결국 멈추고 우주는 수축으로 바뀌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우주의 팽창 속도는 이 중력의 브레이크에 의하여 감속하고 있다고 생각되었고, 오랫동안 우주의 감속 팽창이 상식으로서 믿어져 왔다.

그러나 가속 팽창의 발견에 따라 이 상식이 뒤집혔다. 이 발견은 중력의 브레이크를 뚫고 반발력을 만드는 미지의 에너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주를 팽창시키는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하는 이 에너지는 ‘암흑 에너지’라고 하며, 그 정체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암흑 에너지’의 정체가 될 유력 후보로서 미국 시카고 대학의 마이클 터너 교수 등이 생각하고 있는 것은 ‘진공 에너지(zero-point energy)’이다. 극미 세계의 이론인 ‘양자론’에 의하면 진공은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아니다. 진공은 ‘가상 입자(virual particle)’가 여기저기에서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분주한 공간인 것이다. “가상 입자’는 직접 관측할 수는 없지만 존재의 간접적인 증거는 있다. 그리고 우주 공간에 차 있는 ‘가상 입자’를 만들어 내는 에너지가 진공 에너지인 것이다.

‘인플레이션 우주론’에 의하면 우주는 탄생 직후에도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몇 십 배, 몇 백 배나 급팽창(인플레이션)을 일으키게 된다. 이 급팽창의 근원도 진공 에너지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때의 진공 에너지 가운데 약간 남은 것이 현재의 우주론을 가속 팽창시키고 있는 암흑 에너지일지도 모른다.

현재 우주론의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우주의 구성 요소는 보통의 물질이 약 5%, 암흑 물질이 약 30%, 암흑 에너지가 약 65%라고 생각되고 있다.


http://www.herenow.co.kr/
조회 수 :
1120
등록일 :
2004.08.27
18:53:34 (*.107.59.123)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37683/09c/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37683

김일곤

2004.08.27
20:40:46
(*.107.59.123)
쉘단이 전해준 정보에 의하면,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은
차원간 빛과 힘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차원간 시간이라는 요소가
덧붙여지면 우주적인 사건들이 어떤 계획에 따라 일어나게 된다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149356     2020-05-14 2022-03-25 13:02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150121     2020-01-09 2020-01-16 18:33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167968     2019-10-20 2019-12-17 04:02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156526     2018-08-29 2018-08-29 12:14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37451     2015-08-18 2021-07-14 23:44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37264     2014-05-10 2015-03-11 07:25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82434     2013-04-12 2021-12-16 14:02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313534     2012-12-09 2012-12-09 23:43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351623     2011-08-17 2022-01-10 11:20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466329     2010-06-22 2015-07-04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