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한민족의 맥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역 사

살아 있는 중대제안, 주목되는 키 리졸브

 

<분석과전망>대결이냐 대화냐의 막다른 곳에 도달한 북미대결전의 양상

 

 

한성

기사입력: 2014/01/18 [13:00] 최종편집: ⓒ 자주민보

 

 

1-북 국방위의 중대제안, 하루 만에 일거에 거부당하다.

 

서로를 자극하고 비방중상하는 행위를 전면중지하는 조치를 취하자는 북 국방위의 중대제안에 대해 우리정부당국은 거부를 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을 통해서이다. 통일부 대변인은 남북관계와 관련한 정부 입장을 대변한다.

17일 김 대변인은 ‘북한은 우리 정당한 군사훈련 시비 말라’라는 성명을 들고 브리핑장에 나왔다.

김 대변인은 사실이 왜곡되었다고 했다. 그리고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했다. 중대제안은 전반적으로 여론을 호도하는 것이라고 했다.

 

우선, 상호 비방 중단 제안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을 했다. "남북 간 비방중상 중지 합의를 위반하면서 그동안 비방중상을 지속해 온 것은 바로 북한"이라고 했다. 그리고는 "북한은 남북 간의 신뢰는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미군사연습 중단 요구에 대해서는 “우리의 군사훈련은 주권국가가 행하는 연례적인 방어 훈련”이라며 "북한은 우리의 정당한 군사훈련을 시비할 것이 아니라 과거 도발 행위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를 먼저 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핵 재난을 막기 위한 상호조치'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는 "핵 문제의 본질은 바로 북한의 핵개발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며 "북한이 진정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원한다면 지금 당장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 어느 것 하나 새로울 것이 없었다. 수도 없이 반복적으로 들어왔던 것이었다. 상황은 엄중했으나 같은 말을 반복하는 앵무새 같기도 했다.

김 대변인은 중대제안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는 것을 표명했다. 북 국방위의 중대제안은 그렇게 거부되었다.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을 하고는 키 리졸브 및 독수리 연습을 중단하자고 한 것에 대해 "정말 왜곡된, 말이 맞지 않는 이야기"라고 했다. 한미합동군사훈련 실시에 변화가 없다는 것은 그렇게 확인되었다.

 

 

2-중대제안 거부는 이미 예상되었던 것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했다. 그렇지만 국방위의 중대제안이 거부당할 것이라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었다. 남북관계에 대해 조금만이라도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 누구할 것 없이 쉽게 예상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15일 조평통 대변인 담화에 다음 날 바로 반발하는 우리정부당국의 태도에서도 그것은 이미 선명하게 읽혔었다.

조평통 대변인담화에 대해 통일부에서는 이중적 행태라고 했으며 국방부에서는 이율배반적이라고 했다. 다들 꼼꼼하게 대립을 쳤다.

 

국방부의 김민석 대변인은 북핵문제를 들고 나오기도 했다. “남북관계의 진전은 근본적으로 북핵 문제 해결에 달려있다”고 말한 것이다. 놀라웠다. 북핵을 남북관계개선과 직접적으로 연동시켰던 이명박 정부시기의 대북대결정책을 그대로 답습하는 퇴행적인 행태를 접하면서 사람들은 사실, 절망했다.

 

북이 남북관계개선의 잣대로 한미합동군사훈련을 들고 나오자 이에 대응한답시고 전략적 범주를 건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책임선의 무능, 구체적으로는 협상의 전략전술 부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우리 군의 유사시에 대비한 정상적인 훈련을 빌미로 해서 군사적 도발을 북한이 감행해 온다면 우리 군은 가차 없이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며 예의 ‘북 도발설’을 강조하는 것으로 북에 대한 적의를 드러냈다.

 

이렇듯 북과 만날 수 있는 접점은 그 어디에도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격적으로 제기된 것이 국방위의 중대제안이었다. 집요한 것으로 보였지만 언뜻 보면 무모하게 보이는 측면도 있다는 점에서 그 전격성은 정세분석가들에게 또 다른 차원의 주목을 받았다. 마치, 제 아무리 정세가 험하고 복잡해도 유화공세는 멈추지 않는다는 것을 북이 정책적으로 굳혀놓은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갖게 할 정도의 공세였다.

 

 

3-중대제안, 거부당했지만 그러나 살아있다.

 

북의 중대제안과 관련하여 정세분석가들은 특별한 견해 하나를 제출하고 있다. 중대제안이 거부당했지만 중대제안의 불씨는 사그러들지 않고 살아있다는 견해가 그것이다.

 

중대제안에 대해 극렬하게 반발하고 발 빠르게 거부하는 우리정부당국의 태도에는 역으로 중대제안의 문제의식을 받아들이는 측면이 내재되어있다는 것이 정세분석가의 판단이었다.

크게 부정하는 모양새를 취하고는 있지만 속내에 들어가 보면 북의 남북관계개선의지에 대해서 계속 끈을 쥐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박근혜대통령이 제기한 이산가족상봉사업이 여전히 살아있다는 것과 결부시켰을 때 내올 수 있는 추론이라고 했다. 그럴 듯했다. 북은 이산가족상봉사업에 대해 거부를 하면서도 머지않은 ‘좋은 계절’을 기약해주었던 것이다. 이는 정세가 호전된다면 이산가족상봉이 얼마든지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견해에 따르면 중대제안에 대한 우리정부의 극렬한 반대와 발 빠른 거부는 북으로부터 허를 찔린 것에 대한 즉자적인 반응일 수 있다고 했다.

 

전격적인 북의 제안에 대해 사실, 우리정부당국은 적잖게 당황했을 것이었다. 미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었다. 그동안 한미는 이른바 북의 ‘도발’을 우려해왔었다. ‘때’도 ‘곳’도 가리지 않고 기회만 주어지면 북 도발설을 강조했다.

 

그것은 그 정치적 의도가 어떻든 상관없이 북의 도발을 크고 민감하게 우려하는 것으로 비추어졌다. 현실이 그러했다. 이것은 북의 군사적 행동 중지 제안을 ‘도발’ 우려를 불식시키는 행위로 만들어주기에 충분해보였다. 이는 북의 의도가 어떻든 상관없이 실제로 현상하고 있는 현실이다.

 

혹자는 이를 두고 주체전법이라고 설명을 했다. 상대방이 휘두르는 전술적 무기를 가져와서는 그것으로 상대방을 휘두른다는 의미에서이다.

중대제안에 대한 거부는 아울러 북이 선수를 쳐 명분을 쌓고 있는 대해 일단은 제동을 걸어놓고 보자는 심사가 읽히기도 했다.

북의 중대제안은 우리정부가 받든 안 받든 상관없이 북에게 그럴듯한 명분을 쌓게 해주는 것이었다. 북이 평화 지향적이며 대화 지향적이라는 명분이 그것이다. 제안만으로도 그 명분은 일정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 당장에는 대남관계에서 도덕적 우위를 보장해주는 측면까지 있어 보인다. 남북관계가 잘 풀리면 ‘북의 덕’이 되며 반대로 풀리지 않으면 '남 책임론'을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명분 쌓기는 남북관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후 북중관계는 말할 것도 없고 북미대결전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되는 요소로 작동할 수 있게 보이는 것이다.

중대제안이 거부당했지만 중대제안의 불씨를 살아있는 것으로 봐야한다는 견해는 북의 유화공세가 쉽게 사그러들지 않고 지속되는 성질의 것이라는 전망에 기초하고 있다.

올해 신년사에서 제기된 남북관계 개선의지는 다양한 모습의 언론플레이를 거쳐 조평통 대변인담화 그리고 북의 최고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의 중대제안에까지 도달해있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끝이라고 보는 정세분석가는 없다.

 

북이 현 시기 구사하고 있는 유화공세는 일시적으로 채택한 전술적 공세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유화공세는 힘에 바탕할 때만이 유의미한 법이다. 현 시기 북의 유화공세는 미국을 실제로 위협할 정도로 발전해있는 핵·미사일 능력에 기초해있는 유화공세이다.

 

중대제안이 거부당했지만 중대제안의 불씨는 살아있다는 견해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북은 곧바로 실증해주었다.

우리정부가 중대제안을 거부한지 하루 만인 18일, 북이 중대제안과 관련한 ‘실천적인 행동’을 먼저 보여주겠다는 입장을 표명해온 것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대결의 악순환을 끝장내기 위한 실천적 제안'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이번의 중대 제안을 실현하려는 우리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며 그렇게 말했다.

 

 

4-키 리졸브 훈련, 그 어느 때보다도 주목되다.

 

국방위의 중대제안이 나온 지 하루 만에 거부당하고 말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대제안이 여전히 살아있는 것을 두고 단순히 남북 간의 이른바, 밀고 당기기의 한 양상으로 보는 정세분석가는 없다. 양상의 본질은 키 리졸브 훈련이 부각되고 있는 데에서 찾아야한다고 했다.

미국 대북대결정책의 최대의 군사적 표현인 한미합동군사훈련 중에서도 그 핵심인 키 리졸브 훈련이 남북 간에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대화로든 대결로든 북미대결전이 종식을 향해 치닫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양상인 것이다.

 

정세분석가들이 중대제안의 불씨가 여전히 살아있는 것과 관련하여 2월말에 진행되게 될 한미합동군사훈련인 키 리졸브 훈련에 각별한 주목을 돌리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15일 조평통 대변인 담화는 한미합동군사훈련이 수십년 동안 남북관계에 피해를 주었다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16일 국방위의 중대제안 역시도 한미합동군사훈련에 중심을 박고 있다.

 

이는 북이 타격의 중심고리를 키 리졸브 훈련으로 잡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일반적인 것이 아니다. 극히 예사롭지않은 것으로 된다.

북이 타격의 중심으로 키 리졸브 훈련을 잡았다는 것은 역으로 대화의 계기들을 살릴 수 있는 타협지점을 마련하는 데서 키 리졸브 훈련이 유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일본 오끼나와에 있는 악명 높은 미 3해병기동군이 투입되여 1989년《팀 스피리트》합동군사연습 이후 최대 규모의 련합상륙훈련을 벌리게 된다고 한다”

15일 조평통 대변인담화에 나오는 구절이다. 정세분석가들은 북이 이번 훈련을 사상최대의 규모로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훈련 진행여부의 문제가 아니라 규모의 문제로 정세분석가들은 접근했다.

 

북미대결전이 대결이냐 대화냐의 막다른 곳에 도달하기는 했지만 미국의 준비정도를 고려하여 한미합동군사훈련에 곧바로 폐기의 수순을 밟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약화되는 과정을 제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키 리졸브 훈련이 논란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데에서 확인하고 있듯이 이처럼 북미대결전은 막바지를 향해 치닫고 있다. 대결이냐 대화냐 혹은 전쟁이냐 평화냐는 막다른 길인 것이다.

 

모든 정세분석가들이 지금 당장에, 북이 중대제안과 관련해 말한 ‘실천적 행동’이 무엇일지 북만을 바라보고 있는 이유이다.

분류 :
한민족
조회 수 :
1060
등록일 :
2014.01.18
23:52:09 (*.234.43.147)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history/558614/735/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5586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지구 적을 바로 보지 못하면 적의 하수인으로 춤추게 됩니다 아트만 2022-01-13 3251
공지 우주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8474
공지 지구 지구/ 조선의 역사와 현재의 숨겨진 진실을 찾아가는 대조선삼한역사학회 아트만 2019-01-26 13558
공지 지구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9-06 9210
공지 우주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아트만 2015-08-17 13059
공지 한민족 정치포탈 서프라이즈 - 제정신 가지고 사는 이들이 모인곳 아트만 2014-07-12 26871
공지 한민족 뉴스타파 - 시민의 회비로 운영되는 / 믿을 수 있는 언론 아트만 2014-07-12 14797
공지 지구 한민족의 맥에 올려지는 현실 정보에 대하여 아트만 2013-08-03 24501
6203 한민족 뉴스타파 – 박근혜의 애완견과 ‘코드예산’ (2014.1.10) 아트만 2014-01-11 833
6202 한민족 겨울과 2월 外 2 아트만 2014-01-12 972
6201 지구 2014년 한반도를 둘러싼 남, 북, 미국의 구상 아트만 2014-01-12 1100
6200 한민족 스스로 퇴진이유를 확인해준 박근혜의 신년사 아트만 2014-01-13 1141
6199 지구 <11월22일 미국과 박근혜는 또 한번 북한에 치욕적인 참패를 당했다> 아트만 2014-01-13 1207
6198 지구 미국과 한국정부는 입국거부를 철회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트만 2014-01-13 1233
6197 한민족 '어리석은' 현실과 '고자질하는' 대통령 아트만 2014-01-14 1114
6196 한민족 새해, 그러나 거꾸로 가는 개혁 (2014.1.14) - 뉴스타파 아트만 2014-01-14 997
6195 지구 호민(豪民) - 세력이 있는(깨어 있는) 백성 아트만 2014-01-16 1517
6194 지구 1월의 한반도 정세와 전망 - 예정웅 자주논단 (157) 아트만 2014-01-16 1245
6193 한민족 16일 북의 대남 중대제안 전문 아트만 2014-01-17 1346
6192 지구 북의 핵개발사 다시 쓰기와 ‘최후 결전 ’ 예견 아트만 2014-08-24 648
» 한민족 살아 있는 중대제안, 주목되는 키 리졸브 아트만 2014-01-18 1060
6190 지구 박정희 한,일협정체결 비밀해제 된 '1966년 미국 CIA 보고서' 아트만 2014-11-26 687
6189 한민족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말라! 아트만 2014-01-21 1073
6188 지구 전자투표기 사용에 대한 위헌 판결 아트만 2014-01-21 1654
6187 한민족 변호인을 보고 감동받아서 만든 뮤직비디오 "지켜다오" 아트만 2014-01-21 898
6186 한민족 김을수 의장 '법정울린 최후 진술' 전문 아트만 2014-01-22 981
6185 지구 일본 방사능 피폭의 심각성 아트만 2014-01-23 12936
6184 지구 시진핑 등 中 최고위층 일가 조세피난처 行 (2014.1.22) - 뉴스타파 아트만 2014-01-23 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