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한민족의 맥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역 사
세월호 진상규명 염원 천주교 선언 발표
(세월호 진상규명을 위한 천주교 연석회의 / 2014-11-10)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염원하는 천주교 130190인 선언에 부쳐

암흑 속 빛나는 기억
“내 눈과 내 마음이 언제나 이곳에 있을 것이다.”(1열왕 9, 3)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세월호 가족들에게 서명을 전달하고 있다

 


 

1. 공개적으로 내버려진 무수한 생명

 

 

. (복음의 기쁨 53항)
망망대해도, 창공도 아니었다. 전시(戰時)도, 그렇다고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난 사고 역시 아니었다. 지킬 수도, 구할 수도 있었던 목숨들이었다. 그럼에도 우리는 속수무책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죽음의 생중계, 가히 첨단 문명의 이기로 가장 비문명적인 장면의 목격자가 된 셈이다. 근대 이성의 꽃이라고 믿었던 효율성과 국가 행정력을 총동원해 역사 이래 가장 체계적인 살상을 고안한 아우슈비츠의 역설이다. 그날 이후 우리가 목격한 것은 비단 국민의 안전을 지키지 못한 무능한 정부만이 아니다. 그것은 갈 곳을 잃어버린 이 시대, 무의미한 항해의 비참한 난파였고, 양도할 수 없는 가치인 ‘인간’을 아무렇게나 내다버린 정치공동체의 몰락, 곧 목적에 대한 수단들의 배반이다.

 


2. 가장 딱하고 절박해진 질문, 국가란 무엇인가

 

국정 최고책임자는 이미 자신의 취임사에서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 공언했다. 맞는 말이다. 실제로 국가만이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킬 재원과 제도, 조직과 수단을 위임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정부 역량을 집중해야 할 그날, 정작 ‘안보’가 가장 필요한 그때, 국가는 어디에 있었는가. 밀양과 쌍용자동차, 저 멀리 강정과 한진중공업에 쏟아 붓던 그 엄청난 공권력들은 그날 어디에 있었단 말인가? 사람들의 아우성과 눈물을 우악스레 틀어막던 그 집요하고 조직적인 국가의 의지는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단 말인가? 국가란 무엇인가. 이보다 딱하고 절박한 질문이 오늘 어디 있단 말인가.

 

3. 탐욕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회

 

참사로 열린 심연에서는 온갖 것이 올라왔다. 6개월간 우리가 목도한 것은 죽음의 대량화, 목숨의 계량화, 통곡의 장기화만이 아니었다. 절망도 뼛속 깊숙이 내면화되었다. 언제든 찾아오라던 대통령을 기다리며 76일간 풍찬노숙을 했던 유족들은 “앞으로는 대통령님께 아프다고, 서럽다고 눈물 닦아 달라고 애걸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 말했다. 그것은 국가의 완벽한 부재에 대한 슬픈 고백이며, 자신의 토대와 목적인 인간(사목헌장 25항)을 내다버린 정치에 대한 깊은 환멸이다. ‘국가와 시민에 봉사할 수 있도록 권력을 달라’, ‘머리부터 발끝까지 바꾸겠다’ 읍소했던 거대 정당들과 정치권력은 참사의 고통을 이용해 제 잇속 챙기기에 바빴다. 사법 권력은 참사의 원인과 구조실패, 국가의 역량 부재를 따지는 대신 선박 소유주와 직원들의 처벌 등으로 진상규명이라는 목적을 희석하는데 열중했다. 덕분에 참사의 진상규명은 고작 특별법의 위헌 소지에 대한 논란으로 환치되었다. 이에 언론이 충실히 부역했음은 물론이다. 정론직필은 고어(古語)가 되었고 오직 자극적 정보를 요구하는 소비문화의 생산지, 권력에 부식하는 욕망만 남았다. 가장 참혹한 것은 고통에 대한 연대와 기억이 ‘경제’를 해친다고 호도하는 천박함, 무절제한 탐욕을 더 이상 부끄러워하지 않는 이 시대다.

 
 
4.‘예리코’ 길목에서 묻게 되는 교회의 길, 인간의 길

 

얼마 전 세월호 집회에 참석한 ‘죄’를 묻지 않는 조건으로 반성문을 요구 당한 한 대학생의 눈물을 기억한다. 그 눈물은 비단 소신을 저버릴 수 없는 한 양심의 저항만도, 고통에 대한 연대가 범법행위가 되어버린 현실에 대한 통탄만도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숱한 무명의 힘없는 이들의 연대야말로 잘못된 국가를 바로 서게 할 수 있다는 희망의 전언이다. 민의를 잃어버린 국가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 다름 아닌 이름 없는 양심들의 눈물이다. 때문에 저 한 양심이 흘린 눈물은 작금의 국가보다 위대하고 고귀하다. 이로써 이미 국가권력기구들의 불법 선거 개입으로 절차적 적법성을 훼손당한 현 정권은 참사 앞에 제 스스로 적법성의 결핍을 실천적으로도 증명한 셈이다. 무릇 “참된 민주주의의 목적은 모든 인간의 존엄, 인권 존중, 공동선의 증진”(백주년 48항)에 있으므로, 인간의 고통을 외면한 오늘의 국가는 목적을 배반한 수단일 뿐이다. 이로써 참사는 심연인 동시에 이 사회가 걸어온 모든 길에 대한 총체적 재고이자 문명과 야만,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갈림길이다. 길목에 다다른 것은 사회만이 아니다. 교회 역시 저 옛날 눈먼 이와(마태 10, 29), 천대받던 이(루카 19, 1), 강도 만난 이를 마주하게 되는(루카 10, 33) ‘예리코’의 길목에 다시 서게 됐다. 오늘의 고통은 교회에게도 ‘초주검’이 된 이를 보고 ‘길 반대쪽’으로 가버린 사제와 여정을 멈추고 상처를 싸매주던 사마리아인 사이, 위선적 거룩함과 신실한 ‘이웃’ 됨 사이의 갈림길이다.

 

5. 암흑 속 빛나는 기억

 

오늘 교회는 이 갈림길에서 “눈을 뜨고”(마태 10, 33), 변두리 사람을 초대하고(루카 19, 4), 피 흘리는 이들의 이웃(루카 10, 36), 그들의 ‘야전병원’이 되길 다시 한 번 다짐하려 한다. 인간 존엄과 공동선은 그 무엇보다 드높고 절대적인 가치이기에 그것이 “위협받을 때 예언자적 목소리를 드높여야”(복음의 기쁨 218항)함은 교회의 마땅한 몫이기 때문이다. 미진하기 짝이 없지만, 세월호 특별법 제정은 유족들이 흘린 눈물의 값진 열매이다. 하지만 여기서 멈출 수는 없는 법이다. 그들의 눈물은 이제 ‘우리’들의 것이다. 왜냐하면 참사로 열린 심연은 단지 유족들의 운명을 뒤바꾼 사고 이전에, 이 사회의 내일을 위한 이정표이어야 하고, 동시에 믿는 이들에게는 참된 교회로 가는 ‘사건’이 되어야 하는 까닭이다. 이 ‘초주검’의 고통 앞이 ‘이미’ 도래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느님 나라를 향한 교회의 종말론적 신앙 고백이 발하는 복된 자리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 새로운 여정의 최종 목적지는 비단 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 공동체, 무너진 인간 사회의 재건, 참된 교회로의 거듭남이다. 고통에 대한 ‘기억’이 ‘죄’가 된다면 기꺼이 죄인이 되겠다. 짙은 어둠이 드리울 때면 더욱 밝은 기억으로 빛나겠다. 오늘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는 교회는 이 기억의 연대에 끝까지 함께하길 요청한 한국천주교 주교회의의 초대에(10월 30일 주교회의 추계총회 담화문) 기꺼이 응답하며 아래와 같이 선언한다.

1) 희생자 가족의 아픔에 끝까지 동행하며 진실을 은폐하려는 모든 권력에 함께 저항한다.

 

2) 온 교회는 매일 4시 각자의 자리에서 희생자와 생존자, 이 고통에 함께하는 모든 이들을 위해 기도하며, 12월부터 304일간 그들을 기억하는 매일 미사를 봉헌한다.

 

3) 참사에 대한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을 ‘백서’를 발간하고 보편 교회와의 국제 연대를 통해 참사의 진실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한다.

 

4) 국민의 고통을 외면한 정치권력은 반드시 도태됨을 끊임없이 경고하며, 국가보다 위대한 저마다 지닌 양심의 고귀한 눈물을 언제나 신뢰한다.


 

2014년 11월 10일, 세월호 참사 209일째

세월호 진상규명을 위한 천주교 연석회의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한국천주교 여자수도회 장상연합회, 한국천주교 남자수도회· 사도생활단 장상협의회, 전국 15개 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 정의·평화·민주 가톨릭행동

주: 선언서가 나오기가지의 경과, 배경은
http://www.poweroftruth.net/news/mainView.php?uid=3503&table=byple_news 참조

http://surprise.or.kr/board/view.php?table=surprise_13&uid=11459

 

분류 :
한민족
조회 수 :
585
등록일 :
2014.11.13
01:57:34 (*.216.171.208)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history/583644/8a3/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5836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지구 적을 바로 보지 못하면 적의 하수인으로 춤추게 됩니다 아트만 2022-01-13 3406
공지 우주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8622
공지 지구 지구/ 조선의 역사와 현재의 숨겨진 진실을 찾아가는 대조선삼한역사학회 아트만 2019-01-26 13736
공지 지구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9-06 9393
공지 우주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아트만 2015-08-17 13219
공지 한민족 정치포탈 서프라이즈 - 제정신 가지고 사는 이들이 모인곳 아트만 2014-07-12 27037
공지 한민족 뉴스타파 - 시민의 회비로 운영되는 / 믿을 수 있는 언론 아트만 2014-07-12 14960
공지 지구 한민족의 맥에 올려지는 현실 정보에 대하여 아트만 2013-08-03 24645
1963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5486...우리카페 앗싸 최고님 께... 아트만 2021-10-11 579
1962 한민족 언딘 장병수 이사, '구조' 위해 팽목항 간 것 아냐 아트만 2014-05-28 580
1961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2512...속보...트럼프왕 국민에게 오늘 공표한 내용...번역요! 아트만 2020-05-30 580
1960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5524...기사님에 대해. 아트만 2021-10-18 580
1959 한민족 멘붕의 시대 아트만 2017-04-04 581
1958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7248...젤렌스키 체포영장배포 그리고.... 아트만 2023-03-19 581
1957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7250...현상황 아트만 2023-03-19 581
1956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6002...590명 사형된자들 시체 실종 아트만 2022-02-01 582
1955 지구 (20) 맛 간(상한) 세상 - 지루하고 답답한 정세 아트만 2014-05-13 583
1954 한민족 조희연 서울시교육감후보 아들 글 '감동' 아트만 2014-06-03 583
1953 지구 계단식 공포 / 확고한 북 / 과학적확신 / 올라간다 아트만 2016-09-14 583
1952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5164...님들께 아트만 2021-08-16 583
1951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7092...킴버와 예수가 미국남북전쟁때 잠간 왔었다. 아트만 2022-10-24 584
1950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3424...속보...위키릭 폭로. 글로벌리스트 모든 계획 폭로. [2] 아트만 2020-07-22 584
» 한민족 세월호 진상규명 염원 천주교 선언 발표 아트만 2014-11-13 585
1948 한민족 뉴스타파 [2014.6.6.] 아트만 2014-06-07 585
1947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3763...속보...글로벌리스트 3주간 연속 경제폭락시도 외...뉴스 아트만 2020-08-20 585
1946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6263...와싱튼 DC 정부건물입니다. 텅빈모습... 아트만 2022-02-28 585
1945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6418...한국 딥스테이트 KQ 카페 죽이기 시도 아트만 2022-03-16 585
1944 한민족 대통령 담화, 국민이 분노하는 이유 잘못 짚었다 아트만 2014-05-19 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