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에좋은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잎 모양이 아까시나무나 다릅나무 잎과 비슷하다. 괴화나무라고도 한다.
꽃은 8월에 새로 자란 가지 끝에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이 꽃은 괴화(槐花)라고 하여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약으로 쓴다.  꽃피기 전의 봉우리를 괴미라고 부르는데 그 모양이 쌀을 닮았기 때

문이다.  회화나무 꽃에는 꿀이 많아 벌들이 많이 모여들고 회화나무꿀은 꿀 중에서 제일 약효

가 높다고 한다.  회화나무꿀은 특히 항암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화나무는 꽃, 열매, 껍질, 줄기, 뿌리를 다 쓰는데 주로 동맥경화, 장출혈, 자궁출혈, 피똥을

누는 데, 잇몸염증, 부스럼, 화상, 고혈압, 뇌일혈, 중풍, 손발의 마비 등 순환기계질병과 치질,

치루 등에 좋다.  오래 먹으면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고 한다.




덜 익은 열매[괴료(槐療)]는...


식초에 오래 담가 두었다가 먹으면 중풍, 뇌일혈, 뇌출혈 등에 뛰어나고, 토혈, 혈변, 여성 월경

이 멈추지 않을 때, 가슴이 답답한 증세에 신효!
중풍, 신경계통이 질병에 쓴다.  열매는 오장에 있는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열을 내린다.  신장

의 기운이 허약하여 침을 흘리는 것을 멎게 하며 골절, 부인의 유방멍울, 자궁통증 등을 낫게 한

다.  회화나무 열매를 식초에 3개월 이상 담가 두었다가 먹으면 중풍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를 낫게하고 예방하는 데 으뜸간다. 일반적으로 2개월 정도 먹으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

을 것이라 본다.





특히 중풍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에.


(1) 회화나무껍질 4근(2,400g)에 물 한 말쯤을 붓고 푹 달여서 그물을 마시면 잘 낫는다.  하루 3

번 1회에 1사발씩 마신다. 전갈, 두꺼비, 지네 가루와 함께 먹으면 더 좋다.  대개 한 달에서 두

달쯤 꾸준히 먹으면 좋은결과를 볼 수 있다.

(2) 회화나무 열매를 식초에 오래 담가 두었다가 먹으면 중풍에 으뜸간다.
<향약집성방>에는... 맛은 쓰고 시며 짜고,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오장의 사기와 열을 없애고

침 흘리는 것을 멎게 하며, 다쳐서 부러진 것, 다섯 가지 치질, 불에 덴 것, 여성의 젖멍울 등을

치료한다.  자궁이 몹시 아플 때에는... 음력 7월초에 딴 것을 짓찧어 즙을 낸 다음 구리그릇에

서 알약을 빚을수 있을 때까지 졸여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음부에 넣되 세 번만 바

꾸어 넣으면 좋아진다.  또한 이 방법은 태아를 유산시키는 데에도 쓴다.  오래 먹으면 눈이 밝

아지고 기운이 나며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고 오래 산다.

눈을 밝게하고 탈모, 백발 예방...당나라 시대에 손사막이 지은 <비급천금요방>에서는... 회화

나무열매속의 씨를 괴자(槐子)라고 한다. 이씨를 소의 담낭(膽囊) 속에 넣고 100일동안 그늘에

말려서 식후에 그 씨를 한알씩 먹으면 10일 정도면 몸이 가볍고, 30일 정도면 백발이 검게되며,

100일 정도 가면 신령하고 오묘하게 존재하게 된다. 하루 7~11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혹은

약성이 남게 태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어도 된다.





회화나무꽃(괴화)는.


꽃이 벌어지기 바로 전에 따서 말려 두었다가 약으로 쓰는데 혈압을 낮추는 것 말고도 지혈, 진

정, 소염 등의 작용이 있어 토혈, 대하, 임파선염, 치질, 이질, 피부병의 치료약으로 쓴다. 괴화

에는 루핀이라는 노란색 색소가 20~30퍼센트 들어 있어 이것으로 천이나 종이를 염색할 수 있

다.  자궁의 통증을 치료하거나 남자가 양기를 세게 하려면 음력 칠월 칠석날에 회화나무 꽃을

따서 짓찧어 생즙을 내어 구리 그릇에 넣고 은은한 불로 오래 달여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느릅

나무 껍질 가루를 조금 넣고 팥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하루 두 번, 한 번에 대여섯 개씩 미지

근한 물로 먹는다.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흰 머리가 검어지며 병 없이 오래 살게 된다고

한다.  실제로 이 방법으로 정력이 매우 강해진 사람이 있다.  여성이 자궁통증에는 이 알약을

한 번에 한 알씩 며칠 동안 성기 속에 넣는다.

<동의보감>에는... 회화나무 꽃은 다섯 가지 치질, 가슴앓이를 치료하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

이고 열을 내린다고 적었다.  적백이질, 장풍(腸風), 하혈도 치료하는데 약간 볶아서 쓴다.  회화

나무 잎은 어린이 경기, 열이 날 때, 옴, 버짐 등을 치료할 때 물에 달여서 쓴다.

<동의학사전>에는... 회화나무 꽃은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혈분의 열을 없애며, 피나는 것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꽃의 루틴 성분이 실핏줄의 투

과성을 낮추고 염증을 없애며, 달임약은 혈압을 낮추고 핏속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이 밝혀졌

다.  루틴 함량은 꽃봉오리가 더 높다.  장출혈, 치루, 자궁출혈, 피를 토할 때, 코피, 혈리 등의

모세혈관 장애로 인한 여러 가지 출혈과 간열로 눈이 붉어진 데, 부스럼에 쓴다.  피가 나는 데

는 거멓게 볶아서 쓰고 고혈압에는 약간 볶아서 하루 6~9그램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 내어 뿌린다.





회화나무 열매(괴실, 괴각 또는 괴관)는.


열매의 꼬투리가 염주를 줄에 꿰어 놓은 듯한 모양인데 회화나무 말고는 꼬투리 모양이 염주알

을 꿰어 놓은 것처럼 보이는 나무가 달리 없다. 열매와 같이 강장, 지혈, 양혈 등의 효과가 있어

토혈, 각혈, 치질, 혈변, 혈뇨, 장염 등에 널리 쓴다. 열매는 완전히 익은 뒤에 따서 햇볕에 말려

꼭지를 떼어 내어 쓴다.  회화나무 열매를 음력 10월에 따서 독에 넣고 약 기운이 새지 않게 꼭

덮은 다음 진흙으로 외부를 발라서 봉하고 14일 동안 두었다가 꺼내서 껍질은 버리고 매일 먹는

다.  첫날에는 한 개를 물로 먹고 다음 날부터는 날마다 한 개씩 늘여 15일 동안 먹는다.  이렇게

달마다 먹으면 밤눈이 밝아지고 힘이 나며 장수한다.

회화나무 열매를 껍질을 벗겨 소 쓸개에 넣고 그늘에서 100일 동안 말린 다음 한 번에 한 개씩

아침 빈속과 해질 무렵에 각각 한번씩 깨끗한 물로 먹는다.  한 달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백

일동안 먹으면 빠졌던 이가 다시 나오고 달리는 말도 따라잡을 수 있게 된다.  
10월 상순에 좋은 회화나무 열매 두 말을 따서 질그릇에 담고 뚜껑을 꼭 덮은 다음 종이나 천 또

는 진흙으로 잘 봉하여 49일 동안 두었다가 꺼내면 껍질에서 물이 생겨 물렁물렁하게 된다.  이

것을 껍질을 모두 벗겨 천으로 깨끗하게 닦고 물로 잘 씻어서 닥종이로 만든 봉지에 넣어 두고

처음에는 한 개를 물이나 차로 먹는다.  다음부터는 매일 한 개씩 늘려서 10일 동안 먹는다.  그

다음부터는 다시 한 개부터 시작하여 매일 한 개씩 늘려서 10일 동안 먹는다.  이렇게 거듭해서

먹으면 장수하고 중풍도 치료되고 머리도 좋아지고 수염이 검어진다.
음력 10월 4일에 따서 물에 일거나 씻지 말고 크고 잘 여문 것만을 골라 하루에 다섯 개씩 깨끗

한 물로 먹는다.  먹는 동안 꺼리거나 금할 것은 없다.  1년을 먹으면 수염이 검어지고 2년이면

몸이 거뜬해지며 3년 뒤에는 머리가 총명해고 눈이 밝아진다.  오래 먹으면 효과가 이루 다 말할

수 없이 좋다.”라고 하였다.




회화나무버섯(괴이)은.

회화나무 버섯은 [괴이]라고 하며 괴목수, 괴균, 괴계, 괴아, 괴치,적계라고도 부른다.
맛이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해묵은 회화나무 밑동에 드물게 버섯이 나는 수가

있다.  신선이 되게 한다는 선약을 만드는 데 쓴다.  또한 이 버섯은 항암효과가 매우 높다.  다

섯가지 치질, 가슴앓이, 부인의 음부가 헐어 아픈 것에 좋다.  뽕나무 버섯처럼 단단한 것이 좋

다. 중국의 <당본초>에서는...전갈의 독을 해독할 때 단단할 때 채취하여 통째로 불로구워서 가

루를 낸후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좋다.




회화나무 줄기나 가지는.

지팡이를 만들어 짚고 다녀도 중풍에 걸린 사람이 낫는다고 할 정도로 중풍을 비롯한 온갖 질병

을 낫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고 한다.  회화나무 큰 가지를 잘라서 새싹이 나게 한 다음 그것을

뜯어 달여서 술을 만들어 마시면 남자의 음낭이 부은 데, 나병, 위증(몸이 오그라드는 증상), 비

증(마비증)을 치료하는 데 좋다.
<향약집성방>에는 종기가 난 데, 음낭 밑이 축축하고 가려울 때 회화나무 가지를 물로 달여서

씻는다고 전한다.




회화나무껍질은.

회화나무 속껍질은 맛이 쓰고 독이 없다. 상처가 짓물러 곪은 데, 고름이 나오는 데 가루를 만들

어 뿌리면 잘 낫는다. 입 안에 생긴 병, 이가 아플 때에는 이것을 좁쌀 뜨물에 달여 입에 물고 있

으면 좋다.
회화나무 속껍질은...<본초강목> 속껍질을 끓여서 5가지 치질과 악창, 불에 데인 곳, 몹시 헤어

져 헌 데를 씻는다고 나와 있다. <향약집성방> 속껍질을 후비증(어혈로 인한 염증)으로 추우면

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하고 약을 데우거나 태울 때 쓰는 초를 만드는 데 쓴다.




회화나무 수액(진)은.

수액(진)은 여러 가지 중풍, 힘줄이 오그라드는 데, 기침, 경풍, 중풍으로 인한 팔다리의 마비,

피부에 감각이 없는 데, 구안와사, 파상풍, 허리가 뻣뻣하고 힘이 없는 데  등에 신효하다고 할

만큼 좋다. 진을 말려서 가루 내어 먹기도 하고 다른 약재를 달일 때 같이 넣을 수도 있으며 마

르지 않은 것을 차나 음료에 타서 먹을 수도 있다.  <향약집성방>에 보면 회화나무 진은 여러

가지 중풍을 치료한다고 한다.  급경풍으로 이를 악물거나 팔다리가 마비된 것, 구안와사, 파상

풍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약 또는 알약으로 만들어 먹는다.  달여 먹을 때에는 다른 약

에 섞어 쓴다.




회화나무차


회화나무는 꽃, 열매, 껍질, 가지의 모두를 사용한다. 꽃을 늘 차로 마시면 고혈압을 예방, 치료

하고 잘 늙지 않으며 뇌가 좋아지고 눈이 밝아진다.  만드는 방법은 여름철, 꽃이 피기 전에 봉

루리째 따서 꽃술은 버리고 그늘에서 말린다. 이것을 약한 불에서 살짝 볶아 물 500밀리리터에

말린 꽃 10그램 정도를 넣고 양이 반쯤 줄어들때까지 은근한 불에 천천히 달인다.  이것을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셔도 좋고 감초나 결명자를 함께 넣어 달여도 좋

다.  




회화나무 꽃차를 괴화차라고 한다.

중국 사람들이 특히 좋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그렇게 많지 않으며 늘리 알려져 있지 않다.  맛

이 특이하고 몸에도 좋으므로 널리 마셔 봄직하다.  조선 시대 이수광이 쓴<지봉유설>에 6월 15

일 유두날에 수단을 먹는 것은 옛날 회화나무 잎을 찬물에 띄워 먹던 것과 같은 것으로 액운을

쫓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회화나무 열매나 껍질, 가지도 차로 끓여 마시면 뇌를 튼튼하게 하여 기억력을 좋게 하고 머리

카락을 검게 하며 눈이 밝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