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가 대결한 도적이 40명인 까닭은 무었 때문일까?
그리고 사순절이 40일인 것은 무엇때문일까?
40은 비교적 자릿수가 높은 수 가운데 가장 흥미로운 수라고 할수 있다.
40은 이슬람 문화권에 널리 퍼져 있으며 페르시아와 터키 등지에서는
특별히 중요한 수로 간주되고 있다.

40은 우선 천문학적 관점에서 관점을 끌었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신 아틀라스와 플레이오네의
일곱 딸로 소개되는 플레이아데스성단이 시야에서 사라지는 기간이
40일리라는 사실에서 이 수의 의미를 찾았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나타나면 즉 아틀라스의 일곱 딸들이 유랑 생활에서
다시 돌아오면 바빌로니아인들은 신년 축제를 벌여다.

우기는 보통 40일간 계속되었고 노아의 홍수 때도 40일간 비가 쏟아졌다
오늘날까지도 어떤 나라에서는 일기예보를 하면서 40일간의 날씨를
함께 예측하는관습이 남아 있다.
이때 비가 내리면 그 비는 40일간 계속된다는 믿음 때문이다.
옛 독일의 농부들은 6월 8일과 7월 2일 그리고 9월 1일을
이러한 날로 꼽았다.

40의 의미를 달의 주기인 28과 십이궁의 결합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스톤헨지에 위치한 거석들은 직경 40걸음의 신성한 원으로
배열되어 천문의 질서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40의 수를
채우기 위해 28명의 왕과 주교 외에 다른 사람들을 12명 덧붙였던 것도
영국이나 게르만 전통에서 널리 통용되었던 수 관념 때문이었다.)

40은 또한 아주 이른 시기부터 운명의 수로 인식되어왔다.
구약은 인간의 이상적인 나이를 3*40=120살로 보았다.
솔로몬과 다윗을 포함한 많은 이스라엘의 왕들은 40년간 통치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탈출하여
마침내 성전을 짓기까지는 40년씩 12세대, 즉 480년이 걸렸다.

중세의 성서 주석학자들은 40의 수와 관계된 수많은 예증을
발견해 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40년 동안 황무지를 유랑했고 노아의
홍수는 40일간 계속되었다
모세는 산에서 40일을 머물렀으며, 예수는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하며 머물렀다. 또한 예수가 무덤에서 머무른 시간도 40시간이었다.
(그 이유는 호노리우스의 해석에 의하면 세상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기 위해서였다 )
그렇기 때문에 카톨릭에서는 성체현시대앞에서 40시간 기도하는 의식
까지 생겨났다.

40은 1,2,4,5,8,10,20으로 약분되며 그 합은 50이 되는 풍부한 수 이므로
여기에서 새로운 형태의 사고가 발전되었다.
부활절이 되기 전 40일 간의 사순절은 현세의 삶과 관계되며,
부활절과 성령강림절 사이의 50일은 영원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현세에서 의 올바른 삶은 영원한 평안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40을 4와10의곱으로 해석했다.
여기서 4는 시간을, 10은 깨달음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40은 인간이 깨달음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40은 인간이 겪어야하는 고통스러운 현세의 삶을 의미하기도
한다. 현세의 삶을 보내고 나서 인간은 위안을 받게 되는데,
그 위안은 그리스도가 부활하고 난 뒤승천할 때까지 지상에서 머무름
으로써 주어진 약속이다.또한 어떤 학자들은
40을 4복음서에 의한 십계명의 실현으로 보기도 했다.

다소 무리한 일반화를 감수한다면 우리는 40을 기다림과 준비의 시간
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성서에는 40일 혹은 40년간의 시간이 자주 언급된다.
탈무드는 마흔 살을 인간의 규범적인 나이로 규정했다.
왜냐하면 인간의 이성은 마흔 살이 되면 성숙해지기 때문이다
속담뿐 아니라 심리학적으로 보더라도 40이라는 나이는
인생에서 결정적인 전환점을 이루는 시기이다.

40은 시간을 나타낼 때도 완전한 수로 취급되었다.
터키에서 영웅들의 결혼식은 보통 40일 밤낮으로 거행되었다.
40일이나 40년은 속담에도 자주 등장한다.

숫자 40에는 특별한 매력이 들어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40은 시간의 총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40을 고대의 달의 신화와 연결짓고자 하지 않는다면, 파네트가
주장했듯이 40은 변용된 4 의 숫자들 혹은 피타고라스가 말한
이상적인 척도를 포함하는 수인
(1*4)+(2*4)+(3*4)+(4*4)의 합이라고 해석할수 있다.

   ㅡ 수의 신비와 마법  고려원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