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채식은 지구의 땅과 숲을 살립니다.

   우리는 자주 지구의 허파라고 하는 열대우림이 나날이 폐허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듣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의 산소 부족, 홍수, 오존층의 이상, 지구 온난화의 가속 등등 숱한 가슴 아픈 이야기를 또 듣게 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이러한 전 지구적 규모의 산림 파괴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여러 이유가 있지만 우리의 사소해 보이는 식생활이 그 이유의 중심에 있다면 선뜻 믿으시겠습니까?
   녹색평론에 소개된 적이 있는 숲의 25% 이상이 목초지 조성을 위해 벌채되었고, 1970년대 말에는 중앙 아메리카 전체 농토의 3분의 2를 소나 다른 가축들이 점유하게 되었는데, 그 대부분은 북미의 식탁으로 갈 운명에 있는 가축들이었다고 합니다. 서구의 소비자들은 이곳으로부터 수입되는 육류로 만든 햄버거를 사 먹음으로써  햄버거 하나마다 평균 5센트를 절약할 수 있지만 수입되는 햄버거 하나를 위해서 6평방 야드의 숲이 발가벗겨집니다.

   1ha의 열대우림을 벌채해서 얻을 수 있는 소고기는 200kg인데 단지 햄버거 1,600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1개의 햄버거를 만들기 위해 약 1.5평(9평방미터)의 숲이 파괴된다는 것을 말합니다.(EBS 방송자료)  우리가 햄버거 하나를 먹을 때마다 숲이 약 9.5평방 미터씩 사라져가고, 또한 우리의 꿈과 희망도 그만큼 사라져 간다는 뜻입니다.

   이곳에서 농촌 가족의 반 이상이 기업화, 자본주의화된 축산업 체제로 인해 피폐한 삶을 살아가는 반면, 소수의 토지 귀족들과 다국적 기업들은 계속하여 토지 점유를 확대하면서 그 가운데 많은 부분을 목초지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점점 숲은 파괴되어지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더 곤궁해지고 고통받고 있습니다.

   멕시코의 환경 운동가  가브리엘 과드리는 "우리는 소수의 힘있는 축산업자들의 이익을 위해 멕시코의 장래를 외국에 팔아먹고 있습니다."라고 경고했는데 이 말은 이렇게 수정되어져도 의미심장하게 들립니다.
  "우리는 우리 인간의 입맛을 위해 온 지구와 그 속 생명들의 미래를 육식 관련 산업에 팔아먹고 있습니다."

   2. 채식은 지구의 대기를 맑게 합니다.

   위의 예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듯이 ,
  축산단지 조성을 위해 산림 및 초지를 태우는 과정에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에 방출됩니다. 또 가축용 사료를 생산과 유통 등 육식관련 산업에 쓰이는 화석연료는 채식위주의 산업에서 쓰이는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어 지구 온난화와 대기오염을 가속시킵니다.

   EBS 방송자료에 의하면,
  소의 분뇨 배설량은 사람의 약 20배인데, 이는 지구상의 소가 13억이라고 보면  이 양은 실로 엄청난 것입니다.
  아, 참! 전세계의 소들(약 13억 마리 정도라고 함)이 동시에 방귀를 뀌게 되면 전 지구에 무시무시한 사태가 발발한다고도 합니다.

   3. 채식은 지구의 생명수를 맑게 합니다

  미국의 통계자료를 보면, 쇠고기 1kG을 생산하는데 약 2만 리터의 물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토마토는 110리터, 통밀은 525리터의 물이 필요한 것과 비교하면 이는 엄청난 차이입니다. 미국에서 소비되는 물의 절반 정도가 소와 기타 가축을 기르는 데 쓰이고 있습니다. 몇 십년 안에 지하의 수자원도 크게 줄어 현재의 관개 시설의 3분의 1이 경제적인 관점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리라고 과학자들은 계산하고 있다고 합니다.(출처 - 존 로빈스의 육식)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만 보아도 축산단지 근처의 축산 폐수로 인해 수질오염이 날로 가속화괴어 가고 있습니다. 현대의 공장식 축산업은 엄청난 양의 물을 필요로 하여 물 고갈을 일으키는 요인 중에 하나가 되는 동시에 그 사용하고 남은 축산 폐수는 강과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Xpert(www.xpert.co.kr)내의 "물과 환경"  전문가인 최한나님께서 축산폐수와 수질오염에 대해 답변해 주신 것 입니다.

   "발생량 면에서는 생활 하수(16237천 톤/일), 축산폐수(200천 톤 /일)의 순으로 생활하수가 가장 많이 발생됩니다. 그러나 오염물질의 농도 측면에서는 축산폐수와 사업폐수가 생활 하수보다 훨씬 높으며, 특히 축산폐수의 경우 오염 부하량이 발생량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적정하게 처리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되면 고농도의 유기 물질, 질소, 인 등으로 인해 허천의 수질악화, 호수의 부영양화를 초래합니다."

  또한, 수질오염에 있어서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금 실정에서 절식, 소식,  등의 식습관과 자연스레 이어질 수 있는 채식 식생활이 널리 퍼지게 되면 이러한 원인에 의한 오염이 상당히 감소되어 맑은 물로 되돌아 갈 날은 훨씬 앞당겨질 것 입니다.

    - 다음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