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사상의 진리관 -  삼제원융[三諸圓融]  일심삼관[一心三觀]
 

   삼제원융[三諸圓融]용수(龍樹)의 중론에 나오는 연기라는것은
     공성(空性)을 뜻하며 그것은 가명이고 중도이다. 에서 출발한다.
  
   삼제(三諸)란  공(空)  가(假)  중(中) 의 진리를 의미한다. 

   모든 존재하는것을 공(空)이라고 관하는것이 공제(空諸)이다.
   가제(假諸)의 입장은 모든 존재의 입장을 부정하고 그 부정에서 모든것을 동일한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소극적인 삶을 살게 되므로 가제(假諸)가 필요하다.

   가제(假諸)란 공제(空諸)에 의해 일단 부정된것을 한층 고차원의 입장에서 긍정하는것이다.
  
   그리고 다시 이 가제(假諸)에 집착해서 현실의 전면적인 긍정에 머무르는 위험을 경계하여
   가제와 공제(空諸)를 상호 부정하게 되는데 이를 중제(中諸)라고 한다.

   또한 이 삼제(三諸)는 서로 호구(互具)하고 있으니
   세 가지 존재의 자각이 혼연하여 일체가 된곳에 삼제원융[三諸圓融]의 경지가 전개되는것이다.  

   이렇게 인간의 한 마음이 그대로 원융삼제(圓融三諸)라고 관하는것을     
       일심삼관(一心三觀)이라고 한다.

   모든 존재가 있는 그대로 제법실상의 진리라고 보는 근거는 여기에 있는것이며     
                                    천태사상의 기본이 되는 실천의 요체이다.  


          

 세계관

일념삼천설(一念三千說)  :  색심살상론(色心實相論)

이는 천태의 독자적인 세계관으로 일념삼천의 일념은 일찰나의 한 마음을 의미하는데
일념 가운데는 삼천의 우주만유가 갖추어져 있다는 뜻이다.
또한 모든 세계는 그 내면에 모든 다른 세계를 갖추고 있다는것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인간은 무한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것을 밝히고 있다.


색심실상론(色心實相論)

인간은 육체(色)와 정신(心) 사이의 이중성으로부터 성립되었으나
색(色) 심(心)은 둘이 아닌것에 의해 육체와 정신은 분열되지 않는다.
그러나 육체와 정신이 둘(假觀)이라는 인간계 현실상을 공관(空觀)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육체를 버리고 정신만을 추구할 때 구원이 달성되는것이 아니라
정신과 육체가 서로 관계(相卽)하는 곳에 영원한 깨달음과 구원이 존재(中道)한다.

선(善) 악(惡) 및 미(迷) 오(悟) 관계에서도
선(善) 오(悟) 한쪽만을 추구하는것이 아니라 서로 관계하는 곳에
진실한 영원상이 수립된다라고 보는것이 색심실상론이다.


                                                                   ㅡ 밀교와 한국의 문화유적  민족사

 
         
 

 증거하는 이가 셋이니 
 성령과 물과 피라.  또한 이 셋이 합하여 하나이니라!  [요한 1서 5 : 7,9]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수 없느니라!


                                                                  ㅡ 예수 그리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