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https://news.v.daum.net/v/20220105183346986


숨진 청년 이수철씨 원룸엔 이력서 150장만 '수북'

입력 2022. 01. 05


<신년 기획> 청년, 오늘④
'고독사' 추정 10명의 삶


더 좋은 스펙을 쌓아가며 살고 싶었습니다. 제 꿈을 위해 노력도 했고요. 아직 철이 덜 들어서일까요?”


“저는 무섭습니다”로 시작하는 글을 마지막으로 남긴 20대 취업준비생 김민정(가명)씨의 죽음은 ‘청년 고독사’의 한 단면이다. 그는 외로웠고, 가난했고, 취직하고 싶었다. 그래서 우울했다


숨진 뒤에도 김씨를 찾는 이는 없었다. “앞집 베란다에 며칠째 사람 형체가 그대로 서 있다”는 이웃의 신고로 겨우 발견됐다. 집을 정리하는 사흘 동안에도 고인을 찾아온 이는 없었다. 장례는커녕, 그가 남긴 글을 읽어줄 사람조차 없었다. 고인은 무연고 사망자로 분류돼 공영장례를 치렀다.


길해용 유품정리업체 스위퍼스 대표는 5일 “10년 전 만해도 유품 정리 현장의 70%가 중장년층 고독사였다면 지금은 절반 이상이 20~30대라고 전했다. 국민일보는 경찰 사건 기록과 그들의 마지막 흔적, 유품정리사 인터뷰 등을 통해 고독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년 10명의 삶을 일부 돌아봤다.


수북이 남겨진 이력서들

서울 강남구 6평짜리 원룸에서 삶을 마감한 30대 이수철(가명)씨의 가장 큰 목표는 취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머물던 방에는 빈 소주병들이 널브러져 있었다. 그 사이로 수북한 종이 뭉치가 발견됐는데 생전 작성해 둔 이력서 150여장이었다. 멀끔하게 정장을 갖춰 입고 찍은 증명사진도 여러 장 있었다. 그 모습으로 사회에 발을 내딛지도 못한 채 그는 고단하고 짧은 삶을 마감했다.


김새별 유품정리업체 바이오해저드 대표는 “청년 고독사 현장은 방에 들어가자마자 알아볼 수 있다”며 “이력서, 수험서, 대학 졸업장 등이 많이 발견되는데 대부분 취업 문제로 인한 극단적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허름한 원룸촌에서 숨진 30대 장한미(가명)씨 방에도 미래를 그렸던 흔적이 남아있었다. 장씨는 원하는 직장 취업에 거듭 실패한 후 자격증을 준비했다고 한다. 장씨가 떠난 방에는 작은 포스트잇 하나가 붙어 있었다. ‘괜찮아, 잘 될거야.’


취업난은 경제난으로 이어진다. 이씨의 방에도, 장씨의 방에도 수개월간 연체된 공과금 독촉장이 수두룩했다. 일자리를 못 구해 돈을 벌 수 없었던 청년들의 삶은 궁핍했다. 


고시텔을 전전하던 30대 신명진(가명)씨는 공기업 입사를 꿈꾸던 취업준비생으로, 또 다른 이름은 ‘N수생’이었다. 가까스로 대학에 입학해 졸업했지만, 그는 끝내 좁은 취업 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을 했다. 서랍에는 한 프랜차이즈 식당의 명찰이 들어있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자격증 공부를 한 것으로 추정됐다. 그의 죽음은 한 달이 지나서야 알려졌다.


한 고독사 현장에 ‘헛된 꿈은 독이다’ ‘아프지 않은 인생은 없다’ 등의 메모가 붙어 있다. 스위퍼스 제공

청년 고독사, 이유는 ‘복합적’

청년들이 떠난 자리에는 취업 실패로 겪는 좌절의 흔적이 흔히 눈에 띄지만, 이를 원인으로 단정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고독사를 연구하는 송인주 서울시복지재단 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청년 고독사를 취업난에 국한해 해석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아파서 죽는 청년도 있고, 외로워서 죽는 청년도 있다. 청년의 죽음에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얽혀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여름 길 대표는 고독사 현장에 남겨져 있는 메모 한 장을 사진에 담았다. ‘새는 힘겹게 투쟁하며 알에서 나온다’는 소설 ‘데미안’의 구절이 적혀있었다. 이곳에서 사망한 한유정(가명)씨는 그와 나이가 비슷했던 30대 여성이었다. 고인이 된 한씨가 건네는 메시지처럼 보였다는 게 길 대표의 설명이다.


길 대표는 그를 취업준비생이 아닐까 생각했지만, 한씨는 번듯한 회사에 다니던 직장인이었다. 한씨의 집에선 처방 받은 우울증 약들도 발견됐다. 사망 당시 그는 휴직계를 제출한 상태였다.

삶을 마감할 때까지 그에겐 의지할 가족조차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가 있었지만 시신 인수를 거부했다. 건물 관리인이 딸의 사망 소식을 전했지만, 부친은 끝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한다. 길 대표는 “유품을 인계할 유족조차 없어 가지런히 올려둬야 했다”고 회고했다.


한씨는 주변에 “도와달라”는 말도 쉽게 꺼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방에는 직장 동료로 추정되는 이가 남긴 마지막 메모가 있었다. ‘이렇게 힘들어하는 줄 알았다면 도와줬을 텐데, 정말 미안해.’


청년 고독사의 또 다른 배경 중에는 원만치 않은 가정이 있다. 갓 스무살이던 민지훈(가명)씨는 집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사망하기 6개월 전 “유학가겠다”는 거짓말을 하고 집을 떠났다고 한다. 어린 시절 그의 부모는 수시로 다투다 결국 이혼했고, 이후 민씨 역시 마음을 다잡지 못하고 힘들어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모는 자식의 시신을 수습하러 와서도 서로에게 자식 죽음의 책임을 미루며 다퉜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민씨가 ‘원치 않은 독립’을 한 후 힘들어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청년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한 보건·의료계 공동행동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우울증 등 정신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170만명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30대가 가장 많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30대의 우울증 상담 건수는 2019년 22만3000명에서 2020년 43만5000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청년 우울증이 곧 고독사의 이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최소한의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 희망의 전화 ☎129 / 생명의 전화 ☎1588-9191 /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
조회 수 :
1358
등록일 :
2022.01.06
05:21:54 (*.28.40.39)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673356/1b8/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673356

베릭

2022.01.07
09:24:52
(*.28.40.39)
profile

https://news.v.daum.net/v/20220103184256178\


취준생 

 "10번째 신입 이력서를 씁니다" 9년차 저스펙자의 유랑기

[신년 기획] 청년, 오늘②
'중고 신입'의 굴레
"애매한 취준생 돼 있었다"


올해로 9년차 직장인이 된 이모(32)씨는 새해 첫날부터 10번째 회사 입사를 위한 이력서를 써내려갔다. 그는 ‘경력 채용’이 아닌 ‘신입 채용’에 도전할 예정이다. 대학 졸업 후 2014년 취업에 성공했으나, 어느 한 군데 정착하지 못하고 입사와 퇴사를 반복해 왔다.

현재 다니는 곳은 중견IT기업. 그는 이 곳에서 물류 관리업무를 1년 7개월가량 했다. 그런데 회사는 올 신년 업무계획에서 “물류 부서를 없애고 전문업체에 외주를 맡기겠다”고 밝혔다. 일방적 통보였다. 이씨는 급여를 낮춰 외주 물류회사로 소속을 옮기거나, 현 회사에 남는 대신 직급을 크게 낮추고 아예 다른 업무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는 결국 ‘중고신입’이 되기로 결심했다. 기존 경력을 이어가면서 더 좋은 조건의 회사에 다시 도전하기로 한 것이다. 중고신입은 직장을 다니거나 경력이 있지만 신입으로 기업에 입사하려는 지원자를 뜻한다. 통상은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 일정 기간의 경력을 쌓은 뒤 규모가 더 큰 기업의 신입사원으로 입사하는 구조다. 하지만 상향식 이동이 아닌 수평 이동을 반복하는 중고신입들도 흔하다.


이씨는 9번의 이직이 반복되는 이유가 다 자신 때문인 것 같다고 했다. 스스로를 “저스펙자”라고 불렀다. 지방의 사립대 출신에 학점이나 토익 점수도 요즘 기업들 눈높이에 모자란다. 부족한 스펙이지만, 열심히 일하면 인정 받을 줄 알았으나, 오래 일할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다. 그를 받아주는 회사들은 경영상 부침이 심했고, 그도 이 회사 저 회사를 전전하게 됐다. 그렇게 취업 시장에서 ‘애매한 취준생(취업준비생)’이 돼 있었다.


이씨는 3일 “매번 ‘평생 다닐 회사’라고 생각했는데 또 다시 이력서를 쓰게 될 줄 몰랐다”며 “평생 ‘이직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바닥에서 배회하는 삶을 살게 되지 않을지 두렵다”고 말했다.


“저스펙자는 소모품 같다”


많은 ‘중고 신입’들은 경력을 포기하면서 더 좋은 직장의 신입으로 들어가길 바라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스펙이 낮은 경우 취업 자체가 어렵고, 이직을 하더라도 안정된 일자리를 보장 받기 힘들어 이직의 악순환이 반복되기 십상이다.


이씨는 지방의 한 4년제 사립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했다. 애초 전공에 맞춰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었지만 졸업 전 사회복지사 자격증 시험에서 떨어졌다. 이씨에게는 시험을 다시 준비할 금전적·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가정 형편이 좋지 않아 돈을 벌어야 했던 것이다. 그렇게 취업전선에 뛰어들었다.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20여곳에 이력서를 넣었지만 모두 서류 전형의 문턱조차 넘지 못했다. 그러던 이씨는 2014년 여름 졸업 직전 스타트업과 졸업예정자를 연결해주는 대학 취업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씨는 온라인에서 소매용품을 판매하는 스타트업에서 재고관리 등을 하는 물류 분야 청년 인턴으로 취업에 성공했다. 전공과 무관했지만 3개월 단위의 체험형 인턴 과정을 이를 이수하면 3개월을 추가로 연장한 뒤 정규직 채용에 응시할 수 있었다.


이씨는 이 곳에서 6개월 동안 매월 120만원 가량을 받으며 인턴으로 근무한 뒤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연봉도 3000만원 수준으로 뛰었다. 전공과 무관한 일을 한다는 사실에 ‘대학 등록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그래도 내세울 수 있는 직장이 있어서 다행이라는 안도감이 들었다.


하지만 이씨는 1년 뒤 회사로부터 권고 사직을 당했다. 느닷없는 권고사직에 이유를 묻자 ‘업무 평가가 나쁘다’는 답이 돌아왔다. 회사로부터 그는 “동료들과의 관계가 나쁘다” “업무 수행 능력이 떨어진다” “직무에 맞지 않는 성격을 가진 것 같다”는 식의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일을 하면서 동료나 상사로부터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말들이었다.


이씨는 해당 업체가 정부 지원금을 받는 청년 인턴제를 악용하고 있다고 의심했다. 그는 “청년 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후 1년가량 고용 유지를 하며 정부 인센티브를 받은 뒤 새로운 청년 인턴들을 고용하기 위해 권고사직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청년인턴으로 취업한 다른 동료들도 대부분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정규직 전환 약 1년여 만에 모두 회사를 그만둔 것도 이러한 의심을 뒷받침했다. 이씨와 동료들이 퇴사한 자리엔 새로운 인턴이 채워졌다. 그렇게 그는 자신의 뜻과 무관하게 새로운 직장을 찾아나서야 하는 ‘중고 신입’이 됐다.


평생 직장이 될 줄 알았던 회사에서 근무한 지 2년 만에 나온 그는 신입 채용 문을 두드렸다. 회사를 다니기 전 썼던 이력서를 들춰보며 취업을 준비했다. 인턴 근무 등 2년의 경력을 이력서에 한 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았다. 이씨는 2016년 8월 한 화장품 스타트업에 재고관리 신입직원으로 취업했다.


이전 회사보다 규모는 작았고, 신입으로 입사한 탓에 연봉은 2년 전 대학을 졸업했을 당시 처음 받았던 3000만원 수준이었다. 서울이 아닌 인천으로 통근해야 했고, 재고관리부터 아르바이트생 관리까지 업무 범위와 양도 늘었다. 그래도 구직 시장에 내몰리는 것 보단 나았다. 하지만 1년이 조금 지난 후 회사는 이씨에게 나가달라고 했다. 회사는 이씨에게 “재고관리를 할 직원이 급하게 필요해 뽑았지만, 사업이 안정화가 된 만큼 물류 분야를 전공한 사람을 새로 뽑아야겠다”고 통보했다.


이후 전전한 회사들도 마찬가지였다. 1년 2개월간 일한 유망 온라인 커머스 스타트업도 ‘물류센터 운영을 전담하는 새로운 스타트업을 만든다’며 기존 직원의 절반을 정리했다. 이때 살아남은 직원들은 수도권 대학 출신이거나 물류 분야 전공자였다고 한다. 이후 3곳의 취업 경력을 갖고 여러 기업의 문을 두드렸지만, 연봉이 최저임금 수준이거나 근무 환경이 열악했다.


그나마 그간 경력을 모두 인정해주며 연봉을 4000만원 정도로 맞춰주겠다고 했던 중고의류판매 스타트업에 취업했지만 입사 후 3일 만에 그만뒀다. 회사가 부도나면서 일을 더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7일 서울 영등포아트홀에서 열린 2021 영등포구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면접을 기다리고 있다. 이한결 기자

설상가상’ 코로나19 충격

2년 전부터 확산한 코로나19는 그의 직장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2019년 화장품 스타트업에서 약 8개월가량 근무했지만, 코로나19로 직격타를 맞은 회사가 지난해 사업을 정리하면서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었다. 유랑 끝에 다시 중견 IT 기업 물류센터에 재취업했지만 이씨는 이전과 비슷한 이유로 다시 허허벌판에 내몰리기 직전이다.

이씨는 자신과 같은 저스펙자가 노동 시장에서 소모품처럼 쓰여진 후 버려지는 느낌을 받는다고 했다. 입사와 퇴사를 되풀이한 이씨는 더 이상 저스펙자 취급을 받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지난해 초엔 수도권의 한 국립대 야간 대학원 물류학부에도 진학했다. 스스로를 저스펙자로 부르는 그가 조금이라도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몸부림치는 것이다. 이씨는 “주말에는 대학원 수업을 들으며 졸업장을 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2020년 2월 및 2019년 8월 고등교육기관을 졸업한 55만3521명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기준 취업 및 진학 여부, 급여 수준 등을 조사한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대학의 취업률은 66.8%인데 반해 비수도권은 63.9%에 그쳤다. 비수도권 대학이 취업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환영 받지 못함을 드러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45953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46783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164600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53297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34224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33663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279211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10185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48332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62763
15891 베릭님 [16] KingdomEnd 2022-01-10 690
15890 베릭님 이겨내시길 바랄게요 [6] KingdomEnd 2022-01-10 1368
15889 베릭님에게 [5] KingdomEnd 2022-01-10 682
15888 자신이 누구인지 알기 [2] KingdomEnd 2022-01-10 1333
15887 제가 생각되어지고 있는 차원상승 이라는 것... [8] KingdomEnd 2022-01-09 2100
15886 예전에 베릭님이 저를 크리스탈아이라고 하여서... [4] KingdomEnd 2022-01-09 1218
15885 저도 레인보우휴먼이에요 , 베릭님께 한말씀.. [9] KingdomEnd 2022-01-09 1218
15884 베릭님 질문이 있어요 ㅋ [4]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22-01-09 1503
15883 하도와 낙서에서 십천무극의 길을 찾다. 가이아킹덤 2022-01-08 755
15882 제가 빛의지구에 아직 남아있는 이유 [3] 토토31 2022-01-07 1862
15881 베릭님 안녕하세요. [3] 무동금강 2022-01-07 684
15880 미가엘 서열의 하느님 가이아킹덤 2022-01-06 834
15879 "방역패스, 과거 말고 최신 자료 달라" 요구한 법원 [3] 베릭 2022-01-06 978
15878 "식당 마트도 방역패스 멈춰달라"..뿔난 시민들 촛불집회 연다 ㅡ "방역패스가 기본권 침해" 법원 결정 파장 [1] 베릭 2022-01-06 693
15877 MRNA 백신 개발자의 강력한 경고 / [이왕재 교수님의 소신발언] 백신의 실체! [1] 베릭 2022-01-06 719
15876 청년고독사 ㅡ 마지막 순간 스팸문자에 답장.. 젊은 은수씨의 죽음 [1] 베릭 2022-01-06 695
15875 윤석열 "대장동 부패 몸통이 대한민국 운명 좌우해선 안돼" 베릭 2022-01-06 965
15874 "싼값에 토지 수용 당하고 비싼 값에 아파트 입주한 국민 약탈 아닌가" ㅡ 尹 "李 불법에 유능? 도시 개발해 김만배 일당에 8500억 받아 가게 했으니" 베릭 2022-01-06 876
» 고독사 ㅡ 숨진 청년 이수철씨 원룸엔 이력서 150장만 '수북' [1] 베릭 2022-01-06 1358
15872 지금 대환란의 중간지대를 통과하는 시기이다.. [3] 토토31 2022-01-04 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