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노완우 목사의 치유세미나에서 권하는 척추교정 운동법 - 몸 사랑 하나님 사랑 운동법 -
 
1. 매일 필수 운동법 1번: 구르기
뒤로 굽어 일자 모양이 된 허리가 원래의 모양대로 만곡을 이루게 해주는 운동이다. 그리고 고관절이 틀어지고 공명이 막히면서 밑으로 처지게 된 장기를 제자리로 올려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온 몸의 긴장을 풀어주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준다.
1) 바르게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오므리고 손으로 깍지를 끼고 뒤로 구르다가 일어난다.
2) 무릎과 무릎을 반드시 붙이며, 일어나 앉은 자세에서 양 무릎을 접어 양손으로 감싸 안고 무릎을 이마에 붙인다.3) 반동을 주어 일어나 앉아 가슴을 무릎에 붙인다. 이렇게 되풀이 하면서 하루 30-40회 정도 굴려준 뒤 바르게 누워 풀어지는 자극을 느끼며 잠시 쉬어 준다.
주의할 점 ; 무릎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되도록이면 딱딱한 곳에서 실시한다.
               처음에는 안 좋은 곳은 상처가 나기도 한다.  처음 할 경우에 목을 조심한다. 안되어도 계속한다.

2. 매일 필수 운동 2번: 흉추 7번 목침대기
흉추가 틀어졌던 것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효과가 있다.(고혈압, 불면증, 위, 폐, 간 등) 비만(살)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꼭 해야만 하는 운동이다. (흉추 7번은 여성들의 등 부분, 부레지어 끈이 매이는 자리이다.)
1) 목침을 흉추 7번 바로 위에 오게 베고 눕는다.
2) 다리를 펴고 팔은 위로 올려 편안히 놓는다.
3) 이 상태로 2분 정도 누워 계시면 된다.(오래하면 오히려 근육이 굳게 되니 5분 이상은 하지 않아야 한다)
4) 일어나실 때는 곧바로 일어나지 마시고 반드시 몸을 한쪽으로 돌려 엎드리신 후 고양이 자세로 일어나야 효과적이다. 손을 펴면서 일어난다.

3. 매일 필수 운동 3번: 엉치뼈 목침대기 운동법
전립선이나 부인과에 문제가 (자궁. 난소, 요실금, 등등)있는 분은 둥근 목침을 엉치 뼈에 베고 눕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시면 엉치가 안으로 들어가 골반이 바로 잡히게 된다.(허리 아랫부분이다.)
1) 목침을 엉치 뼈 바로 밑에 오게 하고 베고 눕는다.
2) 다리는 펴고 팔은 위로 올려 편안히 놓는다.
3) 이 상태로 2분 정도 누워 계시면 된다. 너무 오래하면 오히려 근육이 굳게 되니 2분 이상을 하지 마시기 바란다.
4) 일어나실 때에는 곧바로 일어나지 마시고 반드시 몸을 한쪽으로 돌려 엎드리신 후 고양이 자세로 올려 일어나야 효과적이다. 손을 펴면서 일어난다.

4. 매일 필수운동 4번: 걷기 운동법
오랫동안 굽어 있던 허리와 등을 세워 주어 척추가 S 자로 만곡을 이루게 해주는 운동이다. 뿐만 아니라 가슴과 어깨를 펴주어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오장육부로 통하는 신경이 트이게 하여 고관절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켜주고 필요 없는 근육은 없어지게 한다. 이 운동은 살을 빼는데도 효과가 탁월해서 매일 아침에 일어나 걷기 운동법을 20분 이상 하면 살찔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1) 어깨를 으쓱하여 들어 올린 몸 뒤로 양손을 깍지를 껴서 밑으로 내린다.
2) 이 상태에서 어깨에는 힘을 빼고 팔꿈치를 뒤로 가볍게 당겨 준다.
3) 고개를 살짝 들어 (15도
 
) 시선이 먼 곳을 향하게 하고 20분 동안 걷기 운동을 한다.
주의할 점; 힘을 뺀 상태로 운동을 해야 한다. 일부러 힘을 주지 않아도 위의 동작을 따라 하면 자연스럽게 척추가 만곡을 이루게 되어 있다. 여기서 더 힘을 주면 오히려 어깨가 지나치게 뒤로 젖혀지게 되고, 배를 앞으로 내밀게 되어 부자연스러운 자세가 된다. (자연건강법은 돈이 들지 않는 건강법, 병을 미리 예방하는 건강법, 병이 나도 스스로 고칠 수 있는 건강법을 추구한다.문제는 끈기이다.
확신을 가지고 얼마나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가 하는가에 달려 있다.그러므로 온전한 건강은 절대적으로 당신의 몫이다.)
 
Tip] ① 잠자기 전에 머리를 좌우로 도리도리 30회 정도하면 목이 딱딱하지 않아 치매와 중풍예방에 좋다. 목에 굳은살이 있어 딱딱한 경우 1주일만 해도 좋아진다.
② 좌우 다리를 목침에 25회식 두드리는 것이 건강에 좋다. 아킬레스건을 두드려서 신장과 방관과 관련되어 있어 좋다. 숙면을 할 수 있다.
 
          [글,  출처] 노완우 목사 건강법에서 정리함  [영상] 노완우 목사 건강법 앙겔레스에서


동영상 = 주소 클릭!

 http://tvpot.daum.net/my/ClipView.do?ownerid=5_.JhmT6DUw0&clipid=34387505&lu=v_title

지난 7월 둘째주 에수사랑성회에 참석했는데 모인 목사님들과 대화 중에 '건강관리'이야기 중에 어느 목사님의 소개로 노완우 목사님의 건강체조를 소개받고 인터넷으로 찾아 정리하여 보았다.





                


노완우 운동법 1번 구르기





노완우 운동법 2번 엉치뼈에 목침 대기




노완우 운동법 3번 흉추 7번에 목침 대기






 


노완우 운동법 4번 걷기



 



노완우 운동법 5 발목 펌프 운동






 




노완우 운동법 6번 도리도리 운동









 



노완우 운동법 7번 목침 깔고 앉기




노완우목사 건강강의





노완우목사건강체조

 

profile
조회 수 :
11626
등록일 :
2012.02.09
12:47:05 (*.135.108.108)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211057/ec6/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211057

베릭

2012.03.08
17:44:34
(*.135.108.108)
profile

담배 피우면 이렇게 된다"…충격 영상 캠페인 http://news.nate.com/view/20120316n29961?mid=n0503

 

 

 

*************************************************************

1. 운동의 필요성

 

"왜 운동을 하려고 하는가?"

운동을 시작하기에 앞서 당신이 왜 운동을 하려고 하는지 그 이유를
분명하게 알고 운동을 해야하는 필요성을 생각해 보자.

  ic_06.gif 좀 더 나은 외모를 가지고 싶거나 자신의 체력을 단련시키기 위해
  ic_06.gif 증가된 체중 때문에
  ic_06.gif 의사가 건강상의 이유로 운동을 권유하므로
  ic_06.gif 자신이 참여하는 사회적 활동영역을 넓히고 싶어서
  ic_06.gif 기분향상과 에너지를 얻고 싶어서
  운동은 본인 자신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아주 유익한 활동가운데 중요한 한가지임에 틀림없다.
누군가가 당신에게 운동을 시작하도록 권유하든지 그 선택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다.

table.gif
인간의 몸은 본래 많은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많은 신체활동을 함으로써 모든 신체기관의 기능들이 유지되거나 또는 향상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생활환경이 대부분 기계화, 자동화되어감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는 있더라도 현대인이라 면 누구나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량이 부족하여 운동부족증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며, 신체기관들의 기능과 적응력이 약해져 중년기에 퇴행성 질환인 성인병으로 인하여 사망하든지 또는 사망하지 않더라도 기능장애로 인생 중반부터 질병과 싸우며 안타까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성인병)은 현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매우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pho_08.gif 운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정작 바쁜 일에 �기며 살다보면 특별히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그렇지만 현대인에게 있어서 건강은 운동하기 나름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누구나 건강을 원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운동이 건강과 체력을 증진시켜 성인병의 예방과 건강관리에 효과적임은 누구나 아는 사실 이며 "운동은 보약 중의 보약"이고 또 "운동은 가장 값이 싼 보약"이라고까지 한다.
 

건강을 위해 아침 일찍 일어나 조깅을 하고 헬스클럽을 찾으며, 에어로빅을 하고 산을 오르는 것 등은 더 없이 좋은 일이며, 이 이상 보약이 없는 것이다. 우리의 몸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어느 한 곳 잠시도 그대로 정체되어 있지 않으며, 생활 환경 속에서 신체활동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우리 몸은 좋게 혹은 나쁘게 계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즉, 운동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건강이 좋아지기도 하고, 나빠지기도 하는 연속적인 변화 과정 속에 있는 것이다. 현대인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먹느냐 하는 식생활 문제보다 자기 몸에 알맞는 운동을 선택하여 가정이나 직장에서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조건이 운동임을 하루빨리 인식하고, 운동
을 적극적으로 우리들 생활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운동은 우리 몸의 건강을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요구하는 요구자요, 동시에 요구에 따라서 직접 변화를 주도하는 변화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운동의 효과

   1) 운동의 효과

 
 
"소문 만복래"
웃는 집안에 많은 복이 깃든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운동 만복래"란
"운동하는 사람에게 많은 복이 깃든다는 뜻일까?"
그렇다. "운동 만복래"란 운동을 하는 사람에겐 "건강"이라는 복이 찾아온다는 것이다.
운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복(福)은 많다.
운동은 자신의 건강감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외모를
pho_09.gif
  개선하고, 활력이 넘치도록 만들고, 행복감을 증진하고, 인생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도록 만들어준다. 또 더욱 좋은 건강을 가지기 위해서 굳어진 나쁜 식습관을 고치도록 하고, 담배를 끊도록 만들기도 한다. 더 욱이 운동의 힘은 약물이나 수술로는 불가능한 조직, 근육, 관절, 뼈 등 여러 기관들의 기능을 다시 회복시켜준다.

우리의 몸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운동을 실시하여 신체에 적당한 자극을 가해 신호가 주어져야만 모든 장기가 정상적으로 조절되고 신체 항상성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2) 효과적인 운동방법
  What?
 
운동구성은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건강을 위해서 하는 운동은 자신의 최대 운동 능력의 50∼85%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의 구성은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고 심폐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 80∼85%, 근력의 향상과 몸의 유연성을 높여주는 저항성 운동이 10∼15% 정도 되도록 하고 운동 시간은 대개 30∼60분 정도로 매일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주일에 3일 이상 운동하는 것이 좋으며 주 3회 미만은 효과가 크게 없다. 또한, 과격한 운동보다는 우선 걷기, 달리기, 체조 등 가볍고 손쉬운 운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즐거운 마음으로 해야 하고, 운동 중이나 운동 후에 고통이나 아픔을 느끼지 않아야 하며, 이튿날 피로감이나 운동의 후유증이 남지 않는 것이 좋다.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내가 필요하고, 운동하기에 쉬워야 한다. 이때 성인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질병이 없는 건강한 사람보다 운동 강도와 운동 시간을 보다 정밀하게 잘 선택해야 하며 운동이 지나치지 않도록 전문가의 운동처방에 따라서 해야만 한다.
  When?
 
운동은 하루 중에 어느 때 해도 좋으나, 운동은 공복에 해야 하며,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 인체는 하루 중에도 생체리듬이 있기 때문에 운동을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하면 매일 같은 시간에 생체내에 생리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생체리듬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체중조절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특히 운동은 아침에 공복으로 가볍게 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 바로 운동을 하면 섭취된 음식물의 열량이 에너지원으로 소비되므로 운동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이다.
공복상태에서 우유 등 음료수를 한잔 마시고 가볍게 운동하면 피하에 축적된 불필요한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소비되면서 체지방을 줄일 수 있다. 식후에 운동을 할 경우는 최소한 2시간 이후가 원칙이다.

또한,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사람, 당뇨병 환자 등은 아침운동을 피하는게 좋다. 고혈압, 협심증 환자의 경우 겨울철 낮은 기온하에서 혈관수축과 말초혈관의 저항력이 증가해 혈압이 갑자기 높아지고 심한 경우 치명적일 수도 있다. 당뇨병 환자는 아침을 먹지 않고 운동을 할 경우 자칫 저혈당에 빠지기 쉬우므로 반드시 식사 1∼2시간 후 특히 오후 운동이 적당하다.
ic_02.gif 운동이 보약이 되기 위한 5가지 원칙
 
ic_01.gif 과부하의 원칙
  어느 기관의 기능을 보다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준의 강도인 자신의 생활 강도 이상으로 그 기능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 기간 이 상 계속하거나 또는 반복하여 사용하면 그 기능이 서서히 발달하게 되는데 이것을 과부하의 원칙이라고 한다.

현재 이미 충분히 활동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은 기능도 상당히 발달해 있기 때문에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과부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현재의 생활을 계속하기만 하 면 된다.
ic_01.gif 점진성의 원칙
  과부하의 원칙을 따른다고 하여도 갑자기 강한 운동을 하게 되면 몸이 견뎌낼 수 없어서 피로하게 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다소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야 된다.

그러나 항상 가벼운 운동에 머물러 있으면 기능의 발달은 이루어지지 않고 평형 상태에 머 물러만 있기 때문에 신체가 적응하는 정도에 맞추어서 운동의 강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가야 한다.
한층 기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를 높여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점진성의 원칙이다.
ic_01.gif 반복성의 원칙
  운동의 효과는 일회적으로 강한 운동을 한다고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규칙적인 반복운동에 의해서만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운동이 산발적이 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집중된 운동에서는 충분한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운동의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반복운동이 필요하며 이것을 반복성의 원칙이라 한다.
ic_01.gif 개별성의 원칙
  운동을 통해서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 상태, 체력 수준, 기호, 그 밖의 특수 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인별 상황에 알맞은 운동을 선택해야 된다.

조건이 다른 사람들이 획일적인 운동을 실시하면 어떤 사람은 운동 강도가 너무 가벼워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운동이 너무 강해서 고통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운동은 개인의 체력 수준에 따라서 적당한 운동이 되도록 하는 개별성의 원칙이 지켜지도록 해야 한다. 특히 35세 이후의 성인의 경우에는 체력 수준의 차이가 심하여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ic_01.gif 특이성의 원칙
  운동을 통해서 건강을 개선하고자 할 때는 그 사람의 체력 요인 가운데서도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신체조성 등의 건강관련체력 요인 가운데 어떤 요인을 개선시켜야만 되는지 결정하여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요인을 향상시키기에 합당한 운동을 선택해야 한다.

심폐지구력이 나쁜 사람에게 근력을 향상시키는 웨이트 중심의 운동만을 시키게 된다든지 근력 및 근지구력이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 심폐지구성 운동만을 지도하면 들이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서 운동의 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운동 상해를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도 훨씬 높다.
그러므로 운동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그 사람의 신체적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운동은 특이성의 원칙에 따라서 결정해야 한다.

    

   3) 우리몸에 나타나는 운동효과

 

 
pho_11.gif
ic_03.gif 머리
  우울증과 불안증상을 완화시키고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능력이 높아진다.
ic_03.gif 심장
  규칙적인 운동은 심장기능을 증대시켜주는 효과를 가져다 줌으로써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기간의 규칙적인 지구력 운동은 심장을 크고 튼튼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혈관을 탄력있게 유지해 줌으로써 동맥경화나 심장병 같은 성인병을 예방해 주고, 운동시의 혈압 상승 폭을 적게 해줌으로써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도 더욱 향상시켜준다.
ic_03.gif 대장
  대장암 발병율이 낮아진다. 그러나 직장암 예방 효과는 없다. 유방암·전립선암·위암 등의 예방 효과는 일관성이 없다.
ic_03.gif 허리
  체지방, 내장지방을 감소시켜 비만을 예방한다.
ic_03.gif
  호흡근이 튼튼해져 폐활량이 증가하고, 폐(폐포)의 산소교환능력이 좋아져 산소섭취량이 증가하는 등 전반적인 폐기능이 향상된다.
ic_03.gif 면역기능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몸 안 여러 기관의 대사를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양만큼의 에피네프린, 코티졸 등의 호르몬이 분비되어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ic_03.gif 혈액 순환
  장기간의 운동효과는 혈관 내에 들어 있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키며, 혈관 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고밀도 지단백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콜레스테롤의 유익한 변화는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ic_03.gif
  인체에 비교적 강한 부하를 주는 웨이트 트레이닝, 조깅, 걷기, 등산 등은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무기질의 감소를 지연시키거나 골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뼈를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이나 중년 이후의 남성들에게 뼈의 무기질 손실이 급격히 일어난 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 시기에는 운동을 통해서 뼈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ic_03.gif 근육
  운동은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동은 근육의 두께를 증가시켜 힘을 강하게 하거나 오랜 시간 반복해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하는 운동은 근육의 두께와 힘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가벼운 무게로 장시간 하는 운동은 근육의 지구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4)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운동효과

 
ic_03.gif 일상생활에 활력과 자신감 증진
  운동은 불안, 우울, 분노 등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고 두통, 어지러움 등의 증상도
경감시켜 심리적인 안정감과 자신감을 준다. 그래서, 운동은 우울증의 치료 방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들 중 하나이다. 운동을 함으로서 인간의 본능속에 잠재된 강렬한 신체활동
과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역활을 하며, 창조적 문화 형성과 발전에 원동력
이 된다.
ic_03.gif 작업능률 증진
  운동 자체로 인한 성취감과 자신감으로, 정신적인 안정을 찾게 되고 일에 몰두할 수 있게
하며 집중력을 향상시켜 직업 능률을 높여 준다.
ic_03.gif 피로 회복 촉진
  운동을 해서 근육이 발달되면 산소와 영양분이 잘 공급되어 피로를 덜 느낀다. 오랜 시간
동안 무리하지 않고 적절하게 운동을 하면 산소 소비량이나 근육에서 사용되는 당의 양이
적어지고, 피로 물질인 젖산이 적게 생성되므로 운동 후에도 피로를 거의 못 느끼게 되는
것이다.
ic_03.gif 스트레스 해소
  운동을 하면 엔돌핀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엔돌핀은 일명 '뇌의 마약'이라는 것으로서 기분
을 상쾌하게 하고 동통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운동을 하고 나면 기분이 좋아지
고 뻐근하던 몸의 곳곳이 풀리는 느낌을 갖게 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습관은 정신적인 안
정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크며, 만성적 또는 과도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
법중의 하나이다.
ic_03.gif 노화 방지와 젊음의 유지
  알맞은 운동은 노화로 인한 신체와 정신기능의 쇠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향상시킨
다. 또한, 뼈의 칼슘 침착을 도와주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며 근육, 건, 인대를 강하게 하여 젊
고 건강한 외모를 유지시켜준다.

 

    3. 운동시 유의사항

 

        1) 운동전 유의사항    

 
ic_03.gif 내가 운동을 해도 괜찮은지 알고 하자.
  운동을 할 때는 자신의 몸 상태를 충분히 알고서 해야 한다. 특히 몸이 좋지 않은 것 같아서 운동을 시작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특히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점검을 하고 운동을 시작한다.
ic_03.gif 하고자 하는 운동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시작하자.
  자신이 어떤 운동을 할 것인지 결정하기 전에 하고자 하는 운동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 자신에게 무리한 운동은 아닌지 아니면 자신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운동인지 잘 알아보고 운동 자체에 대해서도 충분히 알고 시작하고 처음 시작할 때는 코치를 통해서 익히는 것이 좋다.
pho_10.gif
ic_03.gif 운동 시작 전 건강진단을 필수적으로 실시하자.
  건강증진을 위하여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체력수준에 맞는 운동을 하여야 효과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안전하다.

운동 전 건강진단의 목적은 고혈압이나 협심증과 같이 운동 중에 불의의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은 없는지를 알아보고 운동능력과 체력수준을 평가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하는 데 있다.
또한 운동 전 건강진단은 질병의 유무뿐만이 아니라 질병발생의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심폐기능이나 근골격기능 등의 체력수준을 평가하여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최대의 효과를 보는 데 목적이 있다.
ic_03.gif 그날의 신체 컨디션을 체크하자
  발열, 감기 증상, 설사, 피로, 숙취, 자율신경제 복용, 관절 부상시에는 운동을 되도록 하지 말고 하더라도 가벼운 체조로 그친다.
ic_03.gif 기후 조건이 나쁜 날은 운동을 쉬거나 실내에서 운동하자.
  - 매우 더울 때 격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운동 중에는 다량의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체온이 상승하기 쉽고 체온을 한도 내로 억제하기 위하여 체온조절 기능이 동원되지만 체온조절 기능의 한계에 달하면 몸에 무리가 온다.
- 기온이 매우 낮을 때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겨울 운동은 평소보다 약한 강도로 시간을 길게 하는 게 좋다. 보통 운동을 시작한지 5분 후 1분간 맥박을 재 최대심박수의 60∼80%가 적당하다.
ic_03.gif 식후 얼마간은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식후에는 소화, 흡수가 왕성하기 때문에 위, 장, 간장 등의 모든 문맥 계장기의 활동이 높아 저 혈류량이 증대된다. 가벼운 운동의 경우에는 식후 1시간, 강한 운동의 경우에는 식후 2시간 이상 후에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ic_03.gif 운동복의 바른 착용은 2배의 운동효과를 가져온다.
  의복은 가볍고 습기를 잘 흡수하고 공기를 잘 통하는 것이 좋으며, 화학섬유 제품보다는 면제품이 좋다.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편안한 운동화와 땀 흡수가 잘되는 면을 소재로 하고 여유가 있는 운동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신발은 대체로 가볍고 굽이 낮은 것을 신으며 종목에 맞는 신발을 선택한다.
ic_03.gif 안전한 운동장비와 시설을 이용하자.
  장비와 시설만 잘 이용하면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잘못된 사용법은 운동 효과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도 함께 초래한다.

 

 

 

 

  2) 안전운전 365일

 

 

운동이면 어떤 것이든지 좋을 테지'하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누가 테니스를 치니까 그렇게 좋더라고 하면 '나도 이거 때려치우고 한번 해 볼까' 하면서 금새 운동 종목을 바꾸고, 또 얼마 못가서 다른 운동을 시도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주먹구구식으로 운동을 해서 운동의 효과나 재미를 얻기는 힘들다. 또 대충 되는 대로 골라서 자기 마음대로 운동을 하다가는 탈이 나기 쉽다.

심장병이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달리기를 하다 돌연사 하는 경우, 다리 근력이 몸무게를 견디기 어려운 사람이 무리하게 등산이나 줄넘기, 달리기 등을 하다가 골절이나 관절통으로 고생하는 경우, 고혈압 환자가 헬스를 하다가 되레 혈압이 높아지고 건강을 망치는 경우가 바로 그런 예이다.

또한, 한 달에 한두 번 힘겨운 등산을 하고서 건강 및 체력증진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생각하는 수가 있는데, 이는 운동의 효과면에서 볼 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건강을 오히려 해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운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나, 잘못된 운동을 했을때는 상해의 위험이 높고 오히려 건강을 나쁘게 만들거나 생명까지 위협당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운동에 앞서 반드시 전문기관에서 운동처방을 받고 운동에 대한 기본적인 유의사항을 숙지하고 행하는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의 시초라 하겠다

 

 

 

 

 

     3) 운전중 유의사항

 

 

 
ic_03.gif 짧고 반복적인 운동으로 시작하자.
  초보자가 처음 운동할 때는 심하게 몰아치기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적당한 강도로 반복하는 것이 좋다. 헬스 클럽에서 기구를 사용할 때에도 1분에 20∼30회 정도 들 수 있는 무게를 선택하여 다리 부위, 가슴부위, 허리 부위 순으로 기구를 배치해 순환훈련 일명 서키트 트레이닝 방식을 기하는 것이 심폐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ic_03.gif 자신의 건강상태와 체력수준에 맞는 운동으로 시작하자.
  오랫동안 운동을 멀리한 사람들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심폐기능이 크게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갑자기 운동을 시작하면 무리가 생기고 심하면 기능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운동을 하려던 결심이 흔히 며칠 못가 무너지는 것은 특별히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몸이 감당 못 할 만큼 피로가 누적되어 마음이 내키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혀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의 경우는 조깅, 수영, 웨이트 트레이닝 등 본격적인 운동계획은 일단 뒤로 미루고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엎드려 팔굽혀 펴기, 누워 윗몸 일으키기, 뒷 짐지고 앉았다 일어서기 등을 틈틈이 반복하는 것이 좋으며 각 운동 모두 30초에 20회 정도 반복할 수 있게 되면 본격적인 운동을 할만큼 몸이 적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깅이나 수영 등을 하게 될 경우에도 처음의 경우 800m를 7분 정도로 달리거나 100m를 7분 정도로 물 속에서 걷는 등 최대한 여유 있게 잡고 1주일 단위로 점차 시간과 거리를 조금씩 늘리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c_03.gif 운동할 때는 타인과 경쟁하지 말자.
  운동을 할 때 남을 의식하게 되면 불필요한 경쟁심이 유발되어 능력에 비해 과중한 운동을 하게 되기 쉽다. 더구나 운동 생리학상 짧은 시간에 스피드를 내거나 무거운 중량운동을 하는 것은 운동 효과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ic_03.gif 매일 운동해야 된다는 집착을 버리자.
  운동은 물론 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강박관념이야말로 운동을 계속하지 못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적당량의 운동을 1주일에 3일 정도 계속하면 기대한 만큼의 체력증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ic_03.gif 운동은 지치지 않고 즐겁게 하자.
  지루하지 않고 다양하면서 보다 많은 근육을 포함할 수 있는 신체활동으로 즐겁게 할 수 있 는 운동을 한다.
ic_03.gif 최대 맥박 수의 60%에 달하는 운동을 하루에 30분 동안, 적어도 1주일에 3회는 되도록 계획을 세우자.
  골프나 볼링처럼 숨이 차거나 맥박이 빨라지지 않는 비교적 가벼운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도 수영, 사이클링 또는 줄넘기 등의 다른 기본 스포츠 종목을 선택함으로써 더 나은 지구력 향상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ic_03.gif 즐기면서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운동을 시도하라. )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여 6개월정도 지나면 운동이 단조롭고 지루하게 느껴질수 있으므로 흥미를 느끼면서 운동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영, 수중에어로빅, 근력운동, 테니스, 스 키, 골프 등 새로운 운동을 시도하고 그 활동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ic_03.gif 운동 중에 이상이 생기면 중단하고 도움을 청한다.
  운동 중에 이상이 생기면 운동을 중단해야 한다. 평소에 느끼는 것과 틀리다고 생각되면 운동을 중단하고 상태가 나빠질 것 같으면 바로 도움을 청해야 한다. 운동을 혼자하면 위험한 이유가 이런 것 때문이다. 실제로 운동 중에 많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도움을 청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
ic_03.gif 처음하는 운동은 주의를 기울이자.
  대부분의 부상이나 사고는 처음하는 운동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운동량을 늘리는 경우나 새로운 기술을 익힐 때 생기는 것이 많다. 운동량을 늘리거나 새로운 기술을 익힐 때는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고, 다른 사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사실 운동을 혼자하는 것은 많이 위험할 수 있다. 문제가 생길 때 도움을 청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
ic_03.gif 운동의 순서를 반드시 지키자.
  - 스트레칭, 지구력 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등 목적에 따라 순서를 정해야 한다. 계획이 대충 세워져
있고, 계획을 세웠어도 잘못 짜여 있으면 역효과를 부르는 것은 당연하다.
- 운동을 할 때는 준비 운동, 본 운동, 정리 운동의 순서를 지켜야 한다. 이런 순서를 무시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는 있지만, 결국 더 큰 손해를 입게 된다.
ic_03.gif 운동을 할 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자.
  운동을 할 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면 결국은 부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ic_03.gif 운동을 할 때는 충분히 물을 마시자.
  운동을 현명하게 하는 방법 중에 하나가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다. 피로 회복도 빠르고 운동의 효율성도 높여주기 때문이다.

 

 

 

 

 

4) 운동후 유의사항

 

 
ic_03.gif 운동 후 정돈의 중요성을 인식하자.
  정리 운동은 준비 운동 못지 않게 중요하다. 정리 운동을 제대로 해 주어야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운동 후 1∼2분간이라도 가벼운 조깅이나 보행 또는 체조로 정리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주 운동의 종목이나 강도에 따라서 1∼2분간의 가벼운 조깅이나 보행, 하지의 유연체조, 하
지 근육의 마사지를 통하여 심한 운동 후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증상을 막을 수 있다.
ic_03.gif 운동중 무리하지 말자.
  운동을 하면서 잘 빠지는 함정이 무리해서 운동하는 것이다. 운동 보다 중요한 것은 휴식이
며, 운동 후 1시간 내에 회복되기 힘든 무리한 운동을 억지로 하는 것은 금하는 것이 좋다.
ic_03.gif 지나친 운동이 지속되고 있는지 살피자.
  지나친 운동이 계속되거나 휴식을 갖지 않으면 부상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지나치면 오히
려 모자란 것보다 못하다는 말은 운동에서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ic_03.gif 운동 후 샤워나 목욕은 피로회복의 지름길이다.
  운동 후 샤워는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피로회복을 촉진시켜 준다. 목욕은 피부를 깨끗히 하
고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몸속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한다. 그러나 운동직후의 냉수 샤
워나 뜨거운 샤워는 체내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가져오므로 하지 말아야 한다. 샤워나 목욕
은 10분 정도의 휴식을 취한 후에 심박수가 안정시의 정상상태로 되돌아오는 시기를 기다렸
다가 약간 미지근한 물로 하는 것이 좋다.
ic_03.gif 운동 후 식사는 10∼20분 정도 지난 뒤에 한다.
  운동 후에 음식을 바로 섭취하게 되면 위장에 부담을 주므로 운동의 강도에 따라서 적어도
10∼20분 정도의 시간이 지난 뒤에 하는 것이 좋다.
ic_03.gif 충분한 수면으로 피로를 극복하자.
 

운동이 끝난 후의 수면은 피로회복에 가장 좋으며 수면이 부족하면 피로회복도 늦어지고 신
체조절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운동량이 많은 날은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46135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46955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164776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53438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34390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33857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279355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10323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48476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62957
12533 봉사 속에서 봉사를 찾는...? [1] 여명의북소리 2012-02-12 2123
12532 플레이아데스와 그리스도의식 [2] 엘라 2012-02-11 1611
12531 이 메세지는 어떤가요? [6] [6] 엘라 2012-02-11 1576
12530 신경성 증상의 고통에 대한 대처 [1] 유전 2012-02-11 1457
12529 기존 종교들의 운명 [3] 금성인 2012-02-11 1550
12528 아시는 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8] [42] ShittingBull 2012-02-10 2317
12527 초능력의 세계 - 누구나 아는 상식이지만 다시 확인~~ [2] [48] 베릭 2012-02-09 9184
» 노완우 목사님의 몸 사랑 하나님 사랑 운동법( 건강상식 하나 ~) [1] [65] 베릭 2012-02-09 11626
12525 영계모순을 지적한 체험자의 글과 아다무스의 설득글..... [8] 베릭 2012-02-09 4077
12524 현실도피 혹은 현실전환 [2] [13] ShittingBull 2012-02-09 3432
12523 차원 영역들의 포탈을 여는 작업을 하는 갈색광선 소유자 [28] 베릭 2012-02-08 1824
12522 화염과 소용돌이 공으로 나타난다는 천사라는 존재 [6] [33] 베릭 2012-02-08 1684
12521 현실도피용으로 영성파면 정말 자살직전까지 갑니다. [7] [28] JL. 2012-02-08 1883
12520 과거의 측면들에 대한 사실- 아다무스 글 삶의 디자이너 중에서 발췌 베릭 2012-02-08 1431
12519 님들 밤에 컴터 반드시 끄고 주무셔야 합니다. [1] [3] ShittingBull 2012-02-08 5539
12518 네라님의 답글 - 참된 신의 개입은 통제간섭이 아니라 협동과 보호의 의미로써 해석해야 한다! [3] 베릭 2012-02-07 2037
12517 로드 붓다 Lord Buddha는 악마가 계시록의 일부내용을 조작했다는데, 악마의 타임라인인가? [1] [1] 베릭 2012-02-07 1530
12516 전생의 인연 ~ 현생의 인연 [4] [17] 베릭 2012-02-07 3750
12515 자기 몸에 칩이 있는지 어떻게 알수가 있나요... [2]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2-02-06 1858
12514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모든 현상들을 수긍하고 인정해야 한다. [9] 베릭 2012-02-05 3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