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http://blog.daum.net/bltch/16452703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특성

 

(1)행동적 특성

< 거만하고 자신감에 찬 태도>

가장 주된 행동적 특징은 지나칠 만큼 자신감에 차 있다는 점이다 확신에 찬 모습으로 거침없이 말하고 행동한다. 설령 자신이 잘 모르는 사실이거나 뚜렷한 증거가 없는 일이라고 하더라도 매우 자신 있고 당당하게 말하고 주장하며 행동한다.

어떤 어려움이 닥치거나 곤란한 상황에 처해도 아주 태연하게 별것 아니라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그렇게 때문에 매우 거만하고 이기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낙천적으로 비춰지는 경우도 있다.

 

<지나친 자기과시>

자기가 이루어낸 어떤 성취나 스스로의 재능에 대해 곧잘 자랑을 늘어놓는다. 쑥스러워하는 법이 없다. 이러한 자랑과 과시는 때로 사실보다 과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본인이 받아들이기에는 굉장한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자랑을 듣는 상대방이 듣기 싫어할지도 모른 다는 생각은 아예 하지도 않는다.

 

<특별대우에 대한 요구>

자기가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매우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으로서 누구나 지켜야 할 공통의 규칙이나 의무가 마치 자신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 다른 사람이 배려나 양보를 해도 고마워하기보다는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2)정서적 특성

 

<태평하고 즐거운 기분>

평소 기분은 대체로 태평스럽고 즐거운 편이다. 스스로를 과대평가하고, 자신감에 차 있고, 뭐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로 불안하거나 우울할 일이 없다. 또한 실패나 비난에 직면해도 겉으로는 전혀 동요하지 않고 태연한 듯 무관심한 듯 보이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뭔가 대단한 성공을 거두는 듯한 착각을 하거나 그러한 내용의 공상을 할 때에는 매우 신이 나고 기분이 고양된다.

 

 

<강한 분노와 적대감>

타인이 자신을 인정해 주지 않거나 공격을 당했다고 느끼면 그 즉시 격렬한 분노와 적대감을 느끼고 복수하고 싶다는 강한 열망에 휩싸이게 된다. 아무런 나쁜 의도가 없는 충고나, 스스로의 형편을 고려한 합리적인 거절에 대해서도, 자신을 공격하는 것으로 왜곡되게 받아들이고 분노를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시기와 질투>

다른 사람에 대해 시기와 질투의 감정을 자주 그리고 강하게 느낀다.

그 이유는 다른 사람이 가진 좋은 것이나 성공이 그 사람이 아닌 바로 자신에게 더 잘 어울리는 것이고 자기가 가져야 마땅한 것이라는 생각이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은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로 인한 자존감의 위협과 손상을 막기 위한 방어 노력으로 다른 사람이 자신을 시기하고 질투한다는 생각을 자주한다.

 

<우울과 불안>

때로 자신이 설정한 높은 기대치에 스스로의 수행이나 업적이 맞지 않는 것처럼 느껴질 때, 이를 도저히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릴 수 없거나 무시할 만하지 않을 때, 자신의 완벽함과 유능함을 밝힐 수 없게 되면 어쩌나 하는 불안은 보통 사람이 겪음직한 평가불안이나 수행불안보다 훨씬 더 정도가 심한 우울감에 빠지게 된다.

 

<지루함과 공허감>

반복적인 일이나 일상적인 것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뭔가 새롭고 자극적인 것을 찾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으면서 막연하게 뭔가 텅 빈 것 같고 허무한 듯한 공허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칭찬과 안정에 대한 강한 욕구>

<권력에 대한 욕구 및 성취동기>

<불안정하고 상황에 맞지 않는 감정표현방식>

 

(3)인지적 특성

<자기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

객관적인 현실이나 남들이 자기에 대해 평가하는 것보다도 자신이 더 유능하다고 믿는다. 실제로 특출 난 재능도 없고 뚜렷한 성취나 업적을 이루지 못했어도 자신은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는다.

비디오로 자신의 모습을 찍어서 보여주었을 때, 대부분은 자신이 나오는 비디오를 보면서 어색해 하거나 쑥스러워하는 반면, 자기애성 성격장애자들은 자기가 무척 멋있게 나왔다고 평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것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려는 자기 지각편향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특권의식>

당연히 특별대우를 받아야 한다. 내가 바라는 것은 다른 사람의 소망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뿌리 깊은 신념을 가지고 있다.

 

<최고가 되는 공상>

시험에서 일등, 일에서 굉장한 성공, 미남, 미녀가 되어 뭇사람의 시선을 한 몸에 받으며 손을 흔드는 상상 등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일지라도 정서적인 만족을 경험하며, 상상이 현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리라고 믿기도 한다.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양상>

성공의 원인을 전적으로 자신의 능력과 공헌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반대로 실패를 했을 경우에는 상황적 지원이 부족하거나 동료의 잘못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타인이 단점을 지적하면 자신의 단점을 지적하는 사람을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하고, 타인이 시기 한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의 유능함을 알아볼 만한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고 무시한다.

 

<다른 사람에 대한 과도한 이상화 혹은 평가절하>

자신을 높이 평가하고 인정해 주는 사람은 이상화하는 반면, 적대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은 자신을 무시하거나 자신이 바라는 대접을 해주지 않는다고 지각되는 사람이다.

공상이나 행동에서의 과장성, 칭찬에 대한 욕구, 감정이입의 결여 등의 광범위한 양상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며, 다음 중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킨다.

 

1.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지각을 갖고 있다.

(예: 자신의 성취나 재능을 과장함, 뒷받침할 만한 성취도 없으면서 최고로

인정 받기를 기대함)

 

2. 끝이 없는 성공에 대한 공상과 권력, 탁월함, 아름다움, 또는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공상에 자주 사로잡힌다.

 

3.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하다고 믿고, 특별한 사람이나 상류층의 사람들만이

자신을 이해할 수 있고 또한 그런 사람들(혹은 기관)하고만 어울려야 한다고

믿는다.

 

4. 과도한 찬사를 요구한다.

5. 특권의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특별대우를 받을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특별대우나 복종을 바라는 불합리한 기대감을 가진다.

 

6. 대인관계가 착취적이다. 예를 들면, 자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인들을 이용한다.

 

7. 감정이입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타인들의 감정이나 요구를 인정하거나 확인하려 하지 않는다.

 

8. 자주 타인들을 질투하거나 타인들이 자신에 대해 질투하고 있다고 믿는다.

 

9. 거만하고 방자한 행동이나 태도를 보인다.

 

 

<자기개념 및 자존감>

스스로 의식하고 자각하는 수준에서의 자기개념은 지나치게 긍정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좀 더 심층적인 무의식 속에 있는 자기 모습에 대한 신념과 이미지는 부정적이고 열등의식이 내재되어 있으며 매우 상처받기 쉽고 불안정하다.

 

 

대인관계의 특성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태도>

처음 만나는 사람은 이들을 매우 사교적이고 외향적으로 보게 되지만 조금 지나면 과도한 자기과시나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는 행동을 금방 알아차리게 된다.

 

<진정한 공감 능력배려하는 능력의 부족>

 

 

<강렬하고 불안정한 대인관계>

타인에 대해 과도하게 강렬한 긍정적인 감정, 즉 사랑이나 애정 등을 느끼고 상대를 지나치게 이상적인 사람으로 혼자 생각하고 만들어 간다. 그러나 상대를 고유한 인격을 가진 독립체롤 보지 못하기 때문에 금방 싫증을 내고, 실망하고 오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한다. 강한 사랑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성적으로 문란한 관계를 맺기도 한다.

 

 

 

 

profile
조회 수 :
3821
등록일 :
2012.04.07
11:15:31 (*.135.108.108)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219373/cdb/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219373

베릭

2012.04.07
11:24:22
(*.135.108.108)
profile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진단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진단 기준 (DSM-Ⅳ) >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진단 방법>

다면적 인성검사(MMPI), 로샤 검사, 주제 통각 검사(TAT),

자기애성 성격 척도 (NPI)가 있다.

 

*******************

 

아래에 우리 자신에 관해 기술한 여러 가지 문장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각 문항에는 A,B 두 문장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두 문장 중에서 자신에게 더

잘 맞는 문장을 선택하여 A또는 B에 동그라미를 하십시오.

 

1. A. 나는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타고난 능력이 있다.

B. 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못한다.

 

2. A. 겸손은 내게 어울리지 않는다.

B. 나는 기본적으로 겸손한 사람이다.

 

3. A. 나는 거의 모든 일을 과감하게 하는 편이다.

B. 나는 상당히 조심스러운 편이다.

 

4. A. 다른 사람들이 계속 그렇게 말해 주기 때문에 나는 내가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B.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으면 나는 때때로 당황하게 된다.

 

5. A. 내가 세상을 다스린다면 세상은 훨씬 더 살기 좋은 곳이 될 것이다.

B. 내가 세상을 다스린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너무 겁나는 일이다.

 

6. A. 나는 무슨 일이든지 다른 사람을 설득하여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할 수 있다.

B. 나는 내가 한 행동의 결과를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7. A. 나는 여러 사람에게서 주목받는 것을 좋아한다.

B. 나는 여러 사람 속에 섞여 있는 것이 더 좋다.

 

8. A. 나는 성공한 사람이 될 것이다.

B. 나는 성공하는 것에 대해 그다지 신경 쓰지 않는다.

 

9. A. 나는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B.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잘나지도 못나지도 않았다.

 

10. A. 나 자신을 좋은 리더라고 생각한다.

B. 나는 내가 좋은 리더가 될지 자신이 없다.

 

11. A. 나는 자기주장을 잘한다.

B. 나는 내가 좀 더 자기주장을 잘 하면 좋겠다.

 

12. A.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권위를 갖는 것을 좋아한다.

B. 나는 별로 개의치 않고 다른 사람의 지시에 따른다.

 

13. A. 사람들을 내 마음대로 조종하는 것이 나에게는 쉬운 일이다.

B. 나는 사람들을 조종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할 때 그 것이 싫다.

 

14. A. 나는 내가 받아 마땅한 대접을 해 줄 것을 요구 한다.

B. 나는 대개 내가 받을 만한 대접을 받는다.

 

15. A. 나는 내 몸매 (또는 체격)를 과시하기를 좋아한다.

B. 나는 내 몸매 (또는 체격)를 과시하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16. A. 나는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훤히 읽을 수 있다.

B. 사람들은 때때로 이해가기 어렵다.

 

17. A. 나는 내 책임하게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을 좋아한다.

B. 내가 잘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꺼이 의사결정의 책임을 진다.

 

18. A. 나는 세상 사람들의 눈으로 봤을 때 무언가 업적을 이룬 사람이 되고 싶다.

B. 나는 그저 적당히 행복하기를 원한다.

 

19. A. 나는 내 몸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한다.

B. 나의 신체는 별볼일 없다.

 

20. A. 나는 기회가 되면 나의 자랑거리를 드러내 보이는 경향이 있다.

B. 나는 나 자신을 자랑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21. A. 나는 항상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잘 알고 있다.

B.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확신하지 못할 때가 있다.

 

22. A. 나는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누구에게 의존하는 일이 거의 없다.

B. 나는 어떤 일을 하기 위해 때때로 다른 사람에게 의지한다.

 

23. A. 누구나 내가 하는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한다.

B.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무언가 하는 것을 좋아한다.

 

24. A.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기대하는 것이 많다.

B.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무언가 하는 것을 좋아한다.

 

25. A. 나는 내가 당연히 얻어야 하는 것을 모두 얻을 때까지 결코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

B. 나는 그럴 만한 일이 생기면 그것에 대해 만족한다.

 

26. A. 나는 칭찬받는 것을 좋아 한다.

B. 칭찬을 들으면 좀 나처하다.

 

27. A. 나는 권력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

B. 나는 권력 그 자체에는 별 관심이 없다.

 

28. A. 나는 새로운 유행과 스타일을 주도하기를 좋아한다.

B. 나는 새로운 유행과 스타일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

 

29. A. 나는 거울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B. 나는 거울을 들여다보는 데 별 관심이 없다.

 

30. A. 나는 모든 사람들ㅇ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을 좋아한다.

B. 나는 모든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 불편하다.

 

31. A. 나는 내가 원하는 대로 내 삶을 살 수 있다.

B. 항상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32. A. 사람들은 항상 나의 권위를 인정해 주는 것 같다.

B. 권위를 갖는 것이 나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

 

33. A. 나는 리더가 되는 것을 더 좋아한다.

B. 내가 리더이든 아니든 나에겐 별 상관이 없다.

 

34. A. 나는 위대한 사람이 될 것이다.

B. 나는 내가 성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35. A. 나는 누구에게나 내가 원하는 대로 뭔가를 믿게 할 수 있다.

B. 사람들은 때때로 내가 하는 말을 믿는다.

36. A. 나는 타고난 리더이다.

B. 리더십은 오랜 시간에 걸쳐 개발되는 것이다.

 

37. A. 훗날 누군가가 내 자서전을 써 주었으면 좋겠다.

B. 나는 어떤 이유로는 사람들이 내 삶을 들추어내는 것이 싫다.

 

38. A. 나는 밖에 나갔을 때 사람들이 내 모습에 주목해 주지 않으면 속이 상한다.

B. 나는 밖에 나갔을 때 군중 속에 묻혀 눈에 띄지 않아도 상관없다.

 

39. A. 나는 다른 사람보다 더 유능하다.

B. 다른 사람에게도 아주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40. A. 나는 비범한 사람이다.

B. 나는 다른 여느 사람과 비슷하다.

 

 

< 채점과 해석: 이 해석표는 대학생의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 A에 응답한 문항의 개수가 총점이 된다( 0~40점).

 

@ 30점 이상 : 자기애적 성격 성향이 상당히 강하다.

 

@ 23~29점 : 자기애적 성격 성향이 다소 있다.

 

@ 8 ~22점 : 정상적이며 건강한 자기애를 지니고 있다.

 

@ 7점 이하 : 우울하거나 자존감이 저하되어 있다

 

http://blog.daum.net/bltch/16452704

 

 

베릭

2012.04.07
11:25:53
(*.135.108.108)
profile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정상적인 자기애

 

(1)성격장애의 진단모델

 

성격장애에 대한 범주적 모델- 감기나 위장병처럼 하나의 질병이라고 보는 입장.

성격장애에 대한 차원적 모델 - 성격특성이 어떤 연속선상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하고 그 연속선상에서 어느 정도의 지점에 위치하느냐 하는 것을 지표로 이해하는 것성격장애는 질병인가 -성격이라는 것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그 사람이 가진 생물학적인 특성과, 주변 사람이나 상황 등 주변 환경사이에 수많은 복잡한 오랜 상호 작용이 지속적으로 반복 된 결과로 점진적으로 꾸준히 형성되고 굳어진 것이기 때문에 편의상 정신의학에서 어떤 질병인 것처럼 구분하고 있기는 하지만,

인간의 삶과 그 사람됨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히 보고자하며, 미국정신의학회에서도 범주적 모델을 채택하고 있기는 하나, 성격장애를 하나의 병으로 쉽게 간주하는 것은 현실과 잘 맞지 않으며, 살아가는 데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정도여야 성격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2)정상성격과 성격장애의 경계

 

첫째, 어떠한 부적응적인 성격 특성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면 성격장애로 볼 수 있다.(예: 애인 아닌 직장동료, 공식적인 회의 장소에서의 애교)

 

둘째, 어떠한 행동의 정도가 상황이나 상대방을 고려했을 때 ‘도가 지나치다’고 판단 될 때

(예: 지나친 친절이상의 성적인 유혹을 하는 행동)

 

셋째, 지나친 성격 특성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

 

넷째, 성격 특성 때문에 학업이나 직무에 심각한 방해가 되고

대인관계에서 많은 갈등을 유발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해 나가기 힘든 정도

 

다섯째, 자신의 성격적 특성들로 인해 야기된 여러 가지 문제들 때문에 스스로 주관적으로 힘들어하고 고통을 겪어야 하는 경우

 

(3)정상적 자기애와 병적 자기애의 구분

 

 

정상적인 자기애자

성격 장애자

첫째,

현실적인 자기평가에 근거한 건강한 자존감

(자신의 부족도, 실수도 수용하고 가치를 인정)

자신을 비현실적으로 과대평가

(항상 특별한 존재로 대접을 받아야하며

현실근거가 미약한 과장됨

둘째,

자존감의 안정적, 타인의 평가에 예민하지 않음

자존감에 쉽게 위협을 받음, 타인의 평가에 매우 민감, 실패에 대한 과도한 좌절감을

느낌

셋째,

자신을 나타냄에 있어 겸손함을 잃지 않는다.

타인의 칭찬과 찬사를 지나치게 갈망 집착

넷째

자신을 사랑하고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할 줄

안다.

타인의 감정의 공감능력이 부족

다섯째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의 결여 주변으로

잦은 갈등과 배척 경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46397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47222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165000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53725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34639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34122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279626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10564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48718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63231
12727 마음이 순수한 사람은 겸손하다. (27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아름다운 청년 맹의순) [2] [43] 베릭 2012-04-09 2169
12726 실화인물 - 맹의순 선생... 내 잔이 넘치나이다. [3] [111] 베릭 2012-04-09 3763
12725 김해성 목사 (성남 외국인 노동자의 집 대표) / 인간의 기본권 침해란? [4] [83] 베릭 2012-04-09 2990
12724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회 협력 무료진료소 [2] [35] 베릭 2012-04-09 3186
12723 다일천사병원 - 관련 사이트 주소들 [59] 베릭 2012-04-09 3355
12722 이론이 아닌 현실의 진짜이야기 - 한 푼도 받지 않는 다일천사병원 [3] [5] 베릭 2012-04-09 3812
12721 진실한 기독교인을 아는가? /23년째 450만 그릇… 소외 계층 돌보는 '밥퍼 목사' 최일도 [1] 베릭 2012-04-09 1556
12720 레이디가가 내한공연 문제 있을까요? [2] [36]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2-04-08 2222
12719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1] [31] 베릭 2012-04-08 2116
12718 타인의 영혼을 착취하는 그들은 어디에나 있다. [9] 베릭 2012-04-07 1572
12717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 베릭 2012-04-07 2929
»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특성 [2] [97] 베릭 2012-04-07 3821
12715 자기애성 성격의 유형 [2] [77] 베릭 2012-04-07 6141
12714 강박증과 편집증의 차이 [1] [74] 베릭 2012-04-07 2985
12713 편집증 [5] 베릭 2012-04-07 1575
12712 재미로 보는 악마들의 계급 [8]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2-04-06 2179
12711 익스트림 미스터리 · Extreme Mysteries / 동영상 [6] [59] 베릭 2012-04-06 5365
12710 전세계에서 유명한 한국 동영상 [198] 베릭 2012-04-06 48748
12709 '우주전쟁' 논란 부른 UFO사진 - 케이블TV "이채널"의 "미스터리 사이팅"에서 방송 [1] [25] 베릭 2012-04-06 2613
12708 동굴에 사는 외계인? 마귀? [32]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2-04-05 1643